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후
스페셜
"
이래
"(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가 바꾼 풍경] KAIST 개교
이래
첫 온라인 졸업식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KAIST 학위수여식이 이달 28일 대전 유성구 대강당에서 열리고 있다. 학위수여식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를 감안해 참석인원을 최소화했다. KAIST 제공 1971년 KAIST가 문을 연 이후 처음으로 졸업생이 참석하지 않은 졸업식이 열렸다. KAIST는 이달 28일 오후 2시 2020 KAIST 학위수여식을 열었다고 밝 ... ...
별 헤는 밤 망치는 우주쓰레기 어이할꼬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1957년 10월 4일 구소련이 제작한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이래
로 인공위성의 발사가 늘며 함께 증가하고 있다. 유럽우주국(ESA)에 따르면 현재 우주 쓰레기의 숫자는 3만 4000여개 이상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지구 저궤도를 도는 우주쓰레기의 분포를 모형도도 그렸다. ... ...
[팩트체크] 긴 장마 끝나고 폭염?..."2018년만큼은 아닐 것"
과학동아
l
2020.08.22
C3S·Copernicus Climate Change Service)도 올해 1월과 5월이 해당 기간을 관측한
이래
가장 더운 달로 기록됐다고 분석했다. 한국도 역대 최장 장마가 끝나고 8월 후반부터 연일 전국적으로 폭염경보가 발효되는 불볕 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역대급 장마만큼이나 올 여름 더위가 역대급 폭염이 될지를 ... ...
고양이가 무서운 겁쟁이 개
팝뉴스
l
2020.08.10
몸을 완전히 밀착시켰다. 옆을 지나던 고양이의 표정이 재미있다. “예가 도대체 왜
이래
? 내가 뭘 어쨌다고?” 그렇게 말을 하는 것 같다. 자기에 비하면 아주 작은 고양이 앞에서 바들바들 떠는 개가 귀엽기도 하고 불쌍하기도 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 ...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고체연료 사용제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2020년 미사일지침 개정을 채택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미 미사일 지침’을 채택한
이래
고체 연료를 사용할 수 없는 제약 하에 있었지만, 이제 한국은 기존 액체연료 뿐 아니라 고체 연료와 하이브리드형 연료까지 아무런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의 발사체를 자유롭게 연구∙개발하고 생산, ... ...
4개국 주도 화성클럽 판 깬 아랍의 강소국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미국 탐사선 마리너3호가 화성을 중력도움(플라이바이) 방식으로 스쳐 지나는 데 성공한
이래
화성 탐사는 미국과 러시아(옛소련), 유럽을 중심으로, 또 이들 국가의 정부 주도로 이뤄졌다. 1960년 이후 가장 최근 임무인 2018년까지 시도되거나 성공한 화성 궤도선과 착륙선, 로버 등 다양한 화성 관련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열역학과 엔트로피
2020.06.25
과학과 기술의 친밀도를 과신하거나 기초과학의 역할을 지나치게 내세우다보면 뉴턴
이래
18세기 열역학의 발전이 증기기관과 산업혁명으로 이어졌다는 결론에 쉽게 빠진다. 역사적 사실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와트의 증기기관이 시대적으로는 열역학보다 앞섰다. 제임스 와트는 이산화탄소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교수는 대학원생 시절인 1980년 스트론튬 티타나이트 광촉매에 대한 첫 논문을 발표한
이래
40년 동안 효율을 높이는 연구에 끈질기게 매달렸고 이번에 극한의 경지에 다다른 것이다. 광촉매의 양자 효율이 낮은 가장 큰 요인은 빛을 받아 분리된 전자와 정공이 다시 합쳐져 원래대로 돌아가는 데 ... ...
9년 만의 미국 유인우주비행, 28일 새벽 5시 33분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발사한다. 발사에는 스페이스X의 주력 발사체 팰컨9이 사용된다. 팰컨9은 2010년 첫 발사
이래
87번의 발사 중 86번을 성공했고 나머지 1번만 2개의 탑재체 중 1개를 궤도에 올리지 못해 부분 성공으로 기록한 신뢰성 높은 발사체다. 하지만 유인우주선을 실은 채 발사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NASA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리의 상대성 이론에 관하여
2020.05.26
한글판 ‘깨어남’은 1990년 개정판을 번역한 것이다. 책의 부록에서 색스는 “1927년
이래
기면성뇌염 같은 대규모 유행병은 없었다”라면서도 그 뒤 간헐적으로 발생한 여러 유사 사례를 언급했다. 색스는 “분명한 사실은 기면성뇌염이 여전히 살아 있다는 것”이라며 “만약 그렇다면 일정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