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학
치료
의술
진료
의료기구
기구
치료법
스페셜
"
의료
"(으)로 총 14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12.05
점을 가장 먼저 지적했다. 신희섭 소장은 “해양분야에도 바이오신약 사업이 있고, 보건
의료
분야에도 신약개발 사업이 들어있는데 마치 전혀 연관이 없는 사업처럼 운영되고 있다”며 “현장과 거리가 먼 정부의 조직표에 따른 분류법을 언제까지 이어갈거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송시영 연세대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교수 2003년~현재 고려대학교 연구소 한국인공장기센터 소장 2007년~2009년 고려대
의료
원 의무기획처장 2009년~2010년 보건복지부 HT포럼 공동대표 2009년~현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 2010년~현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본부장 2011년~현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전문위원회 위원 ※ 이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부사장 - 2010 보건산업진흥원 식의약산업본부장 - 2011 오송첨단
의료
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장(현)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009년 국제 줄기세포 학회(ISSCR) 정부정책분과 위원 -2010년~2011년 국가 과학기술위원회 재생
의료
실무위원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시장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 어느 시장을 타깃으로 할지 선택이 필요하다. 중국이 곧
의료
보험을 실시하고, 2020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총생산(GDP)이 미국 수준으로 올라선다. 10년 뒤 중국이 헬스케어에 쓰는 돈은 1000조~2000조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여기에 인도, 동남아까지 포함하면 3000조원 가까이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의사와 기초 연구자를 연결하는 ‘첨단의학융합연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의료
현장의 공백 기술을 배우자는 취지로 2009년 시작됐다. 현장에서 의사가 치료와 진단을 하다 부족한 부분을 제안하면 BT뿐 아니라 기계공학 연구자까지 공동 연구팀을 꾸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단장은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매우 적어 실험이 빠르게 이뤄지지 않는다. 앞으로는 진료, 임상 등 장르를 넘나드는
의료
인력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공계 인력 양성 방안에 기초의학자 양성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도 필요할 것 같다 ... ...
“제네릭 약가 보상 인하로 국내 업계 간 M&A 유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0.12.14
임상실적 등을 근거로 해외 수출을 적극 유도하겠다”며 “
의료
정보화 시스템이나 관련
의료
기기뿐만 아니라 U-헬스 서비스를 탑재한 디지털병원 시스템 자체까지 수출한다는 게 향후 정책 방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기영 국장의 ‘이것만은 꼭!’ △바이오펀드를 통한 적극적인 투자로 ... ...
범부처 통합 생물자원관리체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0.11.03
“생명연구자원은
의료
·에너지·식량 등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겁니다. 따라서 생명연구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윤헌주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정책관은 2일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생명연구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을 위한 ... ...
“아시아 힘 합치면 세계 생물공학 주도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0.10.19
생물공학보다는 ‘그린’ 생물공학에 집중해야한다고 말했다. 레드 생물공학이란 보건
의료
기술에 중점을 둔 생물공학 분야로 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나라에서도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 이미 미국이나 일본 같은 선진국에 관련 산업이 우리나라의 수백 배 규모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