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스페셜
"
우리나라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수몰위기에 처한 섬나라들의 대책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04
100% 재생에너지 자립섬, 100% 탄소 중립적인 섬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현실화하고 있다.
우리나라
의 경우에도 제주도, 울릉도를 중심으로 녹색섬, 에너지 자립섬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 ...
나의 몸과 움직임이 비밀번호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6.02
인식기기에 등록된 정보가 안전하게 보존된다고 볼 수도 없다.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나라
는 해킹에 의해 1억 건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주민등록번호 대신에 생체인식을 도입한다고 해도 마찬가지의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생체정보가 금융거래에 도용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 ...
SF에 나타난 원자력 에너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29
강력한 에너지원이라면 달리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을 것이다. 또한 80년대 후반에
우리나라
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메칸더V’ 역시 원자력으로 움직이는 로봇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일본 작품이다. 위 : 국내에서도 방영된 일본 애니메이션 ‘메칸더 V(합신전대 메칸더 로보)’. 극 중의 거대 ... ...
기후변화협약 청정개발체제 그리고 원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15
스스로 투자하여 진행되는 사업이다. CDM 대상에 원자력발전 시설이 포함된다면
우리나라
에도 큰 도움일 될 것이다. 한국이 아랍에미리트(UAE)에 원전을 수출한 것과 같이 해외 원전 수출 사업이 온실가스 감축 노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원전 산업계는 석유, 석탄 등 ... ...
‘에너지 독립’을 꿈꾼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20
패시브 하우스로 건설하고 있다. 덕암에 위치한 에너지자립마을 조감도 ⓒ 완주군
우리나라
도 지난해 정부에서 ‘기후변화 대응 제로에너지 빌딩 조기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2025년부터는 모든 신축 공동주택을 제로에너지 하우스로 만들 것을 의무화했다. 전 세계적으로 심각해지고 있는 ... ...
경주시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를 소개합니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7
증진될 것입니다. 아토미: 원자력은 안전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센터장님께서
우리나라
원자력발전과 방폐장 건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센터장님: 원자력과 관련한 모든 사항은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전문가 및 비전문가 모두 안전은 100% 보장할 수 있는 게 아니라고들 공통된 ... ...
서머타임, 생체리듬이냐 에너지 절약이냐
KISTI
l
2015.04.14
변화된 시간 패턴으로 생활 리듬이 깨진다는 시민들의 불만으로 1989년 폐지된 이후
우리나라
는 지금까지 서머타임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서머타임은 우리의 시간을 미래로 한 시간 앞당기긴 하지만 시행 이후 생체리듬이 깨지는 기간은 약 1~3주일이나 지속된다. 이처럼 생체리듬이 깨져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시나리오 씽킹’ 발제자로 나선 박태순 사회갈등연구소 소장은 원자력발전에 있어
우리나라
가 직면한 현실을 정리하는 것으로 발표를 시작했다. 그는 국민의 지지가 있었기에 원전에 얽힌 갈등이 늘 존재해왔음에도 정부가 원자력발전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1 ... ...
방사선 공포를 극복하는 128개의 눈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방사선을 두려워하는 이유도 ‘익숙치 않은 것’, ‘확인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에서는 교통사고로 한 시간에 대략 38명이 다친다. 미국에서는 총기사고로 두 시간에 일곱 명이 사망한다. 그런데도 자동차나 총을 보는 것만으로 두려워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위협이 되는 실체가 ... ...
바이오프린팅에 날개를 달아준 방사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7
기초 연구단계에 불과해 이에 대한 선점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
원자력연구원에서 발표한 ‘방사선을 이용한 연부조직재생용 지지체의 물리화학적 특성 제어기술 개발’은 이런 바이오프린팅의 원천 기술 선점에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