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선생"(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티편] “무엇을 찾아야 할지 자신이 잘 알아야 해답을 얻습니다”동아사이언스 l2016.08.05
- 도움을 주셨어요. 멘토님들과는 아직도 연락을 주고받고 있어요. 저에게는 든든한 선생님이죠. ▸멘토링을 정말 많이 받으시고 잘 활용하신 것 같은데요, 창조경제타운의 멘토링을 활용하는 팁 같은 것이 있을까요? ▹딱히 팁 같은 것은 없어요. 다만 창조경제타운에서는 해답을 주는 곳은 ...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2016.07.19
- 왔다는 설명이 있는데 설득력은 약하다. 장면3. (사자들의 대화) 하이젠베르크: 하지만 선생님은 그들에게 얘기해볼 수 있었어요! 보어: 뭘 말인가? 하이젠베르크: 1941년 제가 말씀드린 것 말이죠! 선택은 우리들 손에 달려있다는 걸요! 저와 오펜하이머의 손에! 나치가 제게 물을 때 제가 단순한 ... ...
- SOS, 도와달라고 잘 말할수록 더 유능해진다2016.04.19
- 연구에 의하면 학생들의 경우 공부를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높은' 아이들은 필요 시 선생님의 도움을 잘 요청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정작 도움이 많이 필요할 수 있는 자신감이 낮은 아이들은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숨기고 도움을 잘 요청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고 한다. 여기서 더 ...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2015.12.15
- 문제를 수십 번 풀어 봐서 본인에게는 쉬운 문제가 아이들에게도 쉬울 거라고 생각하는 선생님들이 비슷한 예다. 앞서 언급했듯 사람의 마음을 읽는 조망수용(perspective-taking)의 프로세스는 우선 '내가 이랬으니 남들도 그럴 거야' 라는 나이브한 가정을 기반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불안한 출발선에서 ... ...
- “내시 중에 대머리 없었다”...남성호르몬 역설을 아시나요?2015.11.16
- 다 합쳐도 한 줌이 안 돼 보였다. ‘어떡하지...’ 먼저 떠오른 생각은 도올 김용옥 선생처럼 머리를 빡빡 깎는 거였다. 그런데 주변 사람들이야 곧 적응하겠지만 취재할 때마다 상대방들이 좀 당황스러워할 것 같았다. 게다가 겨울에 모자를 쓰고 다니는 것도 좀 번거로울 것 같았다. 그래서 ... ...
- [COOKING의 과학] 황금빛 가을철 영양과 맛의 보고, 대하KISTI l2015.09.27
- 가을철 대하 축제까지 열어 우리들을 대하의 세계로 유혹한다. 오래 전 조선시대 정약전 선생이 흑산도에서 쓴 (1814)에도 대하가 등장한다. “대하는 빛깔이 희거나 붉다. 흰 것은 크기가 두 치(약 6cm), 보랏빛인 것은 크기가 5~6치(15~20cm)에 이른다”고 했다. 이 뿐만 아니라 “붉은 수염이 ... ...
- 우리나라 최초의 화학박사, 이태규 KISTI l2015.06.23
- 이태규의 원래 꿈은 소학교 선생님이었다. 하지만 경성보고에서 만난 화학 선생, 호리 선생을 만나면서 세계적인 화학자의 꿈을 키울 수 있었다. 1920년에는 관비(官費) 유학생으로 일본 히로시마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밤을 새며 다른 학생들보다도 더 열심히 공부한 결과, 교토대학교에 ... ...
- 6월에 잘 걸리는 A형 간염, 예방접종이 답! KISTI l2015.06.16
- ” “그래서 A형 간염이라고? 다른 애들한테 옮길 수 있으니까 당분간 등교하지 말라고 선생님이 그러셨구나?” “헐, 대박! 어떻게 한번에 그걸 아세요?” “그야, 지금이 6월이니까 그렇지. 원래 A형 간염이 겨울에는 별로 안 생기다가 5월이 지나 6월에 가장 많이 발병하거든. 하지만 아직 ... ...
- 멍 때려야 뇌가 쌩쌩해진다?!KISTI l2015.03.03
- 과학향기 제공 수업 시간에 먼산바라기를 하다 선생님께 지적을 당한 경험이 누구나 한두 번쯤은 있을 것이다. 그런데 최근 먼산바라기를 누가 잘하는지를 겨루는 대회가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 2014년 10월 27일 서울시청 앞 잔디밭에서 열린 ‘제1회 멍 때리기 대회’가 그 시초였다. 심박동수를 ... ...
- 즐기다 보니 우수연구원 됐다IBS l2015.02.24
- 어렵게 과학고 진학에 성공했다. 하지만 다른 학생들에 비해 성적이 좋지 않다 보니 담임선생님의 걱정도 많았다고. 하지만 김 연구원은 오히려 과학고에 들어가자 물 만난 고기가 된 듯했다. 원래 공부에 관심 없던 학생이었지만 좋아하는 과학을 맘껏 하게 되자 성적도 크게 상승했다. 화학 ... ...
이전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