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스페셜
"
생각하기
"(으)로 총 2,97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획대로 일이 되지 않는 이유
2024.01.20
적어 두는 것이 좋다. 꾸준히 시간을 써야 하는 일을 할 때 ‘두 달 후 완성’이라고
생각하기
보다 단계를 나눠서 데드라인을 여러 개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 하루는 24시간임을 기억하자. 열정에 휘말려 지나치게 많은 일들을 한꺼번에 달성하려고 덤비는 경우 마치 하루가 48시간인 것처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손흥민. 연합뉴스 제공 ‘역시 스타성이 있네...’ 새해 첫날 아침부터 반가운 소식이 들렸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이하 EPL) 토트넘에서 뛰고 있는 손흥민 선수가 23/24 시즌 12번째 골을 넣었다. 영국에서는 12월 31일 오후 2시에 시작한 경기이지만 한국 시간으로는 밤 11시로 경기 도중 해가 바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자연에 이름 붙이기. 교보문고 제공 지난 8월 '과학카페' 글에서 독서의 계절은 여름이라며 책 두 권을 소개하며 그 가운데 한 권인 ‘The Good Virus(착한 바이러스)’를 서평 형식으로 다룬 적이 있다. 참고로 당시 글 앞부분에서 캐럴 계숙 윤의 책 ‘Naming Nature’를 잠깐 언급하며 “2009년 출간됐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10번 고맙다가 딱 1번 서운한 일만 기억하는 사람들
2023.12.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친구나 연인 사이에 갈등은 항상 있는 것이지만 쓸데 없이 갈등을 더 키우는 습관이 있다. 바로 선택적 기억이다. 예를 들어 한 가지 작은 서운한 일이 생겼을 때 그 일로만 다투는 게 아니라 생각해보니 이 때도 그 때도 이런저런 서운한 일이 있었다며 과거의 모든 서운함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세균이 침입한 곰팡이의 대처법 ‘맨눈으로 보기 힘든 작은 생물체’라는 뜻을 지닌 미생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흔히 매스컴에서 들을 수 있는 미생물에는 세균(박테리아)과 바이러스가 있고 평균 크기가 이들보다 더 큰 것으로 곰팡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서울식물원의 올리브나무. 강석기 제공 “시간 되면 같이 가시죠.” “안돼. 보고서도 끝내야 하고 바빠.” 지난주 서울 마곡에서 점심 약속이 있었는데 가는 길에 문득 서울식물원이 생각났다. 알아보니 약속 장소에서 지하철로 세 정거장 거리라 겸사겸사 가보기로 했다. 카페에서 담소를 나누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덫에 갇힌 동료 구하는 돼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0
사이언스 6675호 표지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궁금한 표정으로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는 소의 얼굴을 실었다. 함께 적힌 문구는 '호기심'. 이번 주 사이언스는 '동물은 생각할 줄도, 느낄 줄도 모른다'는 과학계와 대중의 오랜 편견을 깨고 가축의 인지능력을 보여주는 내용의 르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안과 수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고대인들의 안과에 대한 관심과 수술에 대한 기록 “의사가 눈 수술을 하여 눈을 살려 내면 10세겔을 받는다” 기원전 2250년경에 제작된 함무라비 법전에 소개된 내용이다. 이를 토대로 눈 수술이 아주 오래 전에도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기원전 1550년경 만들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
2023.12.0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해외에서 지내면서 한 가지 편하다고 느끼는 것은 내가 원하는 바에 따라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관계들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벌써 함께 5년 이상 매주 회의를 하며 함께 일하고 있는 선생님의 사적인 정보(나이, 가족 구성, 집안 사정, 재산 상태, 최근의 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에르빈 슈뢰딩거. 위키미디어 제공 "내가 만들어낼 수 없는 것은 내가 진정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 리처드 파인만 얼마 전 동네 도서관에서 ‘새로 들어온 책’ 코너를 둘러보다 ‘기계 속의 악마’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생명은 어떻게 물질에 깃드는가’라는 부제를 보니 생명의 기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