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스페셜
"
금속
"(으)로 총 44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게시판] ‘2021 세종과학기술인대회’ 2020년도 과학기술유공자 9인 업적 기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1.04
9인은 한국의 기상학과 기상예보의 기반을 마련한 고 국채표 중앙관상대 전 대장, 수소화
금속
이용 유기합성 분야를 선도한 화학자 고 윤능민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대수기하학분야의 변형이론을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수학자 고 임덕상 미 펜실배니아대학교 전 교수(이상 자연분야), 한국의 전염병 ... ...
카롤린스카 의대 교수 "한국 연구환경 뛰어나...생리의학 분야서 노벨상 수상자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11.03
유명한 ‘시타글립틴’을 비롯해 향수 원료 물질 등 광범위하게 쓰이는 화학물질을
금속
없이도 만들어내는 ‘비대칭 유기 촉매’ 기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한 공로로 올해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마나베 슈쿠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와 클라우스 하셀만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 조르조 ... ...
[이덕환의 과학세상]‘탄소’가 망친 세상 ‘수소’가 구해줄까
2021.10.27
자동차의 연료 탱크는 700기압의 초고압을 사용한다. 그런 초고압을 견딜 수 있는
금속
탱크는 실용화가 어려울 정도로 무겁다. 다행히 가벼운 탄소섬유로 충분히 튼튼한 연료탱크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초고압의 연료탱크의 안전이 확실하게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수소 기체의 ... ...
[표지로 읽는 과학]6배 강하고 잘 휘는 2차원 목재 소재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4
복합재다. 쉽게 썩고 폐기물 문제도 덜해 환경 문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문제는
금속
이나 플라스틱처럼 실생활에 쓰일 다양한 모양으로 가공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특히 목재를 가공해 벌집과 같은 3차원의 복잡한 모양으로 만들려면 여러 개의 목재를 계속해 덧붙이는 어려운 작업이 ... ...
[랩큐멘터리] 반도체 대신
금속
으로 만든 트랜지스터 시대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말이 된다”며 “전자 소자의 혁명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실은 바일
금속
과 같은 차세대 물질 연구 외에 양자컴퓨터의 기본 단위인 큐비트 후보로 꼽히는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자기힘현미경으로 관측하고 조작하는 연구도 계획하고 있다. 마요라나 페르미온은 입자이자 동시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리튬 배터리 대안 마그네슘 배터리 만들 새로운 전해질
동아사이언스
l
2021.10.10
활용했다. 킬레이트는 집게처럼 생긴 구조를 지닌 분자로 집게 끝부분으로 물체를 잡듯
금속
이온과 결합하는 화합물이다. 킬레이트가 강력하게 양이온과 상호작용하면서 전자를 쉽게 방출하게 해 배터리의 전하 이동속도를 크게 높였다. 그러면서도 음극 소재와는 반응하지 않아 계속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세상을 바꾸는 촉매반응의 발견과 미래
2021.10.08
여전히 같다. “아니요, 유기촉매 반응과
금속
촉매가 갈 방향이 다릅니다. 유기촉매는
금속
이나 생체촉매들이 할 수 없는, 전혀 새로운 제3의 길을 우리에게 가져다줄 것"이라는 점이다. 리스트 교수와 필자가 공유했던 모토인 'world changing catalysis(세상을 바꾸는 촉매반응)'을 개발하기 위해 필자와 ... ...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들 "과학자에게 필요한 건 '자유'와 '도전정신'"
동아사이언스
l
2021.10.07
필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리스트 교수는 반응 조건이 쉽고, 조작이 간단하며 중
금속
의 오염이 없어 제약산업에 혁신을 유기 촉매를 만든 공로로 데이비드 맥밀런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교수와 함께 2021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리스트 교수는 "유기촉매를 개발하는 것과 같은 혁신적인 ... ...
왜소행성 '베스타' 첫 맨틀 운석 태양계 형성 초기 '창' 제공
연합뉴스
l
2021.10.07
철(Fe)과 이리륨을 비롯한 철과 결합하기 쉬운 이른바 '친철(親鐵) 원소'가 모두 가라앉아
금속
성 핵을 형성하고 맨틀에는 이런 원소가 남아있지 않게 된다. 맨틀과 행성이 식으면서 맨틀 위에 형성된 지각의 철과 관련 원소들은 핵이 형성된 뒤 나중에 소행성이나 운석을 통해 얻은 것이다. ... ...
한국 제자 많이 두고 민속촌서 막걸리도 마시는 젊은 노벨화학상 수상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제공 올해 노벨 화학상은 유기촉매를 개발해 의약품을 비롯한 다양한 화학 물질을
금속
없이도 만들어낼수 있도록 한 베냐민 리스트(53)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와 데이비드 맥밀런(53)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교수에게 돌아갔다. 두 교수는 다른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보다 평균나이가 훨씬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