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미
관심
호기심
취미
감흥
취향
잼
뉴스
"
흥미
"(으)로 총 94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
2023.02.21
확립됐다. 여기에 끼지 못한 파란트로푸스는 언론과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졌다.
흥미
롭게도 에티오피쿠스는 뒤에 나온 보이세이보다는 덜 억세 보인다. 아마도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진화했을 것이므로 일리가 있다. 아무튼 대략 300만 년 전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서로 반대 방향처럼 ... ...
'지구사랑탐사대'가 이어준 인연...생태 연구자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2.13
출간했다. Q. 지사탐을 통해 많은 것을 이룬 듯이 보입니다. "무엇을 할지, 어떤 것에
흥미
가 있는지 뚜렷하지 않은 청소년 시기에 지사탐 활동을 하며 생물학자라는 진로를 더 명확하게 굳힐 수 있었어요. 무엇보다 좋은 스승을 만난 점이 정말 값진 것 같아요. 지사탐에는 뛰어난 연구원이 ... ...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02.11
이화여대 행동생태연구실 최아현 제공 “
흥미
롭게도, 자바긴팔원숭이 가족들은 저마다 다른 방식의 사회적 학습을 했다. 각 가족의 막내들은 치밀하게, 엄청난 집중력으로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생존에 필요한 정보를 배웠다.” -2021년 2월 18일, 필드에서 작성한 일기 중 발췌- 영장류가 단체 생활을 ... ...
[주말N수학] 필즈상 허준이 父 허명회 교수 “듣는 능력이 중요”
수학동아
l
2023.02.04
풀어야 한다. 인간은 그렇게 많은 노력을 할 수 없게 태어났다. 중학생 때 수학에 크게
흥미
를 느끼지 못했던 아들도 1주일 동안 하나의 체스 문제를 붙잡고 늘어졌다. 또 어떤 사실을 기억하려고 노력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일종의 암기인데 자세히는 맥락을 이해하면서 암기하는 능력이다. A를 ... ...
[주말N수학]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01.28
당시 NASA에서 16 프시케를 수학적으로 모형화하는 연구 주제가 있었고 개인적으로
흥미
를 느껴 그때부터 꾸준히 소행성을 연구했습니다. “학부 시절 우연히 응용수학을 공부하던 대학원생들과 대화를 나눴는데, 이론을 연구하는 순수수학과 다르게 응용수학은 자신이 한 연구의 영향을 곧바로 ... ...
‘사랑의 호르몬’ 없어도 애착관계 형성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연구에서 옥시토신을 분비하는 유전자를 제거한 초원 들쥐는 교미 후 상대에게
흥미
를 잃고 다른 상대를 찾아 나섰기 때문이다. 약 10년 뒤 이뤄진 이번 실험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를 사용해 한 쌍의 초원 들쥐가 옥시토신 수용체 신호를 수신하지 ...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
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건강에 중요한 수면의 질을 생각하면 역효과가 꽤 있을 텐데 다소 의아한 결과다.
흥미
롭게도 커피 한잔에는 칼륨이 100mg나 들어있다. 하루 서너 잔을 마시면 권장량의 10%를 섭취하는 셈이다. 어쩌면 커피의 건강 효과의 상당 부분은 만성 부족 상태인 칼륨을 꽤 보충해준 덕분 아닐까. 이번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따라 어떤 내용을 어떻게 담을 것인지는 고민의 여지가 있지만
흥미
없는 졸업식이
흥미
로운 졸업식으로 바뀌어가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일을 잘 하는 방법의 하나는 목표(미션)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실행방법을 계획(기획)한 다음 실제로 운영을 해 보고, ... ...
나노기술로 암·알츠하이머 유발 단백질 형성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베타는 조직 내 축적돼 신경 손상을 초래하고 알츠하이머 발병에 관여한다.
흥미
롭게도 노치 활성화와 아밀로이드 베타 형성은 둘 다 세포막에 존재하는 두 종류의 효소에 의한 노치 수용체 및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순차적인 절단 과정을 거쳐 일어난다. 절단 과정의 인자를 규명하고 제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