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혼자"(으)로 총 99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토킹 등 타인 괴롭히고 정당화...'어둠의 성격 특성'2022.10.01
- 공격 등에 더 강한 제재가 필요한 이유다. 또한 주변 사람들이 나서서 괴롭힘에 혼자 대응하고 있을 피해자를 지원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공간은 금새 어둠의 성격 특성들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사냥터가 되어버릴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적 규범은 말랑말랑해서 다수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도움 요청을 꺼리는 이유는..."약해 보일까봐"2022.09.24
- 경우 서로 어느 정도 선에서의 배려를 당연하게 여기는 환경보다는, 힘들어도 꾹 참고 혼자 어떻게든 버티고 그러다가 나가떨어지기라도 하면 패배자라는 낙인이 찍히는 환경이 좀더 익숙한 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중 아는 선생님으로부터 “동료들의 존재 이유는 누군가 힘들어할 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실함'은 미덕이지만 '재미'도 찾아야2022.08.27
- 반대말과도 같은 충동성(impulsivity)과 재미 추구 사이에 강한 관련성이 나타난다. 혼자 조용히 차를 홀짝이면서도 느낄 수 있는 소소한 행복감과 달리 재미란 일반적으로 판에 박힌 일상에서 벗어나 일탈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열심히 산다고 해서 불행하고 차가운 사람이 되는 ... ...
- 굉장히 외향적인 반려견들 팝뉴스 l2022.08.13
- 긁거나 컹컹 짖는다. 주인은 언제나처럼 반갑게 문을 열었다. 그런데 반려견은 혼자가 아니었다. 친구를 데려왔는데 전혀 예상하지 못한 친구들이었다. 하나는 사슴을 데리고 왔다. 이런 일은 그래도 자주 있을 것 같다. 그런데 다른 반려견은 새끼곰을 데리고 왔다. 그렇다면 주변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해야할 일 미루는 사람들의 특성2022.08.13
- 경우가 가장 많은 경향이 나타난다. 필자를 포함해 이처럼 미루기는 흔하게 나타난다. 혼자가 아닌 것이다. 함께 미루기를 줄이고 스트레스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워지도록 하자. 신경과학동향/박진영 제공 ※참고자료 Miyake, A., & Kane, M. J. (2022). Toward a holistic approach to reducing academic procrastination with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지막회) 보통과학자론, 과학을 지탱하는 사람들2022.08.11
- 소수의 영웅에 의해 진보할 수 없으며 과학의 영웅은 이제 나타날 수도, 나타난다 해도 혼자서는 과학을 진보시킬 수도 없다. 모든 과학자는 보통과학자이며 과학은 영웅이 아니라 보통과학자들의 협력네트워크를 통해 진보하는 체제로 변화되어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굴드가 4할타자론을 ...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과학동아 l2022.08.06
- 평소에 생각은 많이 해봤지만 말할 기회가 없었던 주제를 이야기한다”며 “혼자 생각하던 걸 다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자리라 온 사람들도 많은 것 같다”고 했다. 외계공작소는 올해 11월 세 번째 작품인 ‘발사 세 시간 전’을 공연할 계획이다. 발사 6개월 전과 같은 세계관, 같은 시간대를 ... ...
- [인터뷰] 암 극복한 소년, 정보과학의 노벨상을 받다 “실패는 할 수 있다. 그 다음이 문제”수학동아 l2022.07.30
- 보면 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과 연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혼자만의 시간에는 주로 체스를 두거나 책을 읽는다고 합니다. 수학을 도구로 쓰는 컴퓨터과학자는 하루에 몇 시간이나 연구할까요? 브레이버먼 교수는 하루에 5, 6시간 이상 연구하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교수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행복이 낯설더라도 2022.07.23
- 무례할 것 같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들도 있다. 이밖에 주변 사람은 불행한데 혼자만 행복해지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보는 시각이나, 행복해지면 주변의 시기나 공격을 받아 위험해질 수 있다고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행복해지고 싶지만 행복에 대한 거부감 또한 만만치 않을 수 있다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더 나은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다는 착각이 불러온 분노2022.07.17
- 원래 계속해서 자기가 치킨을 독차지 했으므로 계속해서 혼자 먹어치울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식이다. 그 과정에서 그간 자신은 다른사람들이 없는 '능력'이 있었기 때문에 자기가 더 많이 먹는 것이 정당하다는 유의 주장들이 나온다.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