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호모"(으)로 총 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기에 과학]뒤짱구는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적 흔적동아사이언스 l2018.12.15
- 오른쪽) 두개 골을 비교한 모형. 뇌 용량은 네안데르탈인이 조금 더 크지만, 소뇌는 호모사피엔스가 8배 가량 더 크다. - Wikimedia Commons/Dr MikeBaxter 제공 인류학자들은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인류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인류 종간 이종교배를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인류의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한파를 이기는 법, 우리 마음은 이미 알고 있다2018.12.08
- 뇌가 커지면서 언어, 가족, 사회, 문화 등 다양한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호모사피엔스는 대략 20만 년 전 무렵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바로 뷔름 빙기와 리스 빙기입니다. 특히 21만8000년 전은 가장 추웠던 시기입니다. 인간은 추위와 싸워가며 겨우겨우 힘들게 살아왔습니다. 그러면서 ... ...
- 인류 도구 사용, 동아프리카 전파설 ‘흔들’동아사이언스 l2018.12.03
- 년 전 동아프리카에서였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또는 아직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초기 호모 속(현생인류의 직계 조상 인류군) 인류가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 정설에 따르면, 이후 이 도구는 천천히 퍼져 아프리카 전 지역과 유럽, 아시아에도 전파됐다. 그런데 최근, 도구 사용이 전파된 게 ... ...
- 현생인류 最古 동굴벽화 기록 깨졌다동아사이언스 l2018.11.08
- 자신의 손바닥 그림을 벽에 남긴 ‘구석기 예술가’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현생인류(호모사피엔스)가 남긴 가장 오래된 동굴벽화의 기록이 깨졌다. 호주 그리피스대와 인도네시아 반둥공대, 인도네시아 국립고고학연구소 공동연구팀은 보르네오섬 동쪽 칼리만탄 지역의 동굴에서 발견된 벽화의 ... ...
- 랜선라이프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 과학동아 l2018.10.20
- 현실은 시대가 변하고 환경이 변하면 곧바로 변해버립니다. 20만 년 전 지구상에 출현한 호모 사피엔스에게 초록색 종이나 콘크리트 빌딩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앞으로 20만 년 뒤엔, 또 어떤 것이 ‘현실’이라고 불릴지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20만 년 후나, 20억 년 뒤에도, 중력은 변하지 않고 ...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과학동아 l2018.10.03
- 순간을 눈으로 볼 수 있게 됐다. 인간의 본성이 도구를 사용하고 제작하는 데 있다는 '호모파베르'의 개념을 빛으로 만든 도구를 이용하는 인간으로 더욱 확장시킨 셈이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물리학상 선정위원회는 2일(현지 시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아서 애슈킨(96) 미국 벨연구소 ... ...
- KAIST 양자컴퓨팅 기반 AI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8.10.03
- ‘인공지능’ 개발에 나선다. KAIST와 서울대, 고려대, 경희대 4개 대학과 더불어 KT와 호모미미쿠스, 액터스네트워크, 미래텍의 4개 기업체도 참여한다. 실무 연구진은 교수 10명과 기업전문가 8명, 연구교수 2명, 석·박사과정 연구원 40여 명으로 구성됐다. 이번 양자컴퓨팅 IRTC 개소는 양자컴퓨팅 ...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일부일처제는 인간의 본성일까? 동아사이언스 l2018.09.20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는 일부일처일 가능성이 높고 네안데르탈인과 초기의 호모사피엔스도 1부다처의 가능성이 높았다. 오늘날의 인류는 그 중간으로 봤다. 수컷 고환의 크기도 관심사다. 암컷이 여러 수컷과 짝짓기를 하고 그 사실을 수컷도 알 경우, 가장 좋은 전략은 한번 사정할 ... ...
- 이 작은 돌조각에... 7만 3000년 전 사피엔스 최고(最古) 그림이 있었다동아사이언스 l2018.09.13
- 그림마저 연대가 7만3000년 전 이전으로 올라가면서,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 호모 에렉투스 등 여러 인류가 모두 오래 전부터 상징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갖추고 그림을 그려왔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더구나 이번에 발굴이 이뤄진 동굴에서는 그림 외에 뾰족한 물건으로 황토에 새긴 ...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2018.09.11
- 말하려고 시도하지만 안타깝게도 무슨 소리인지 알아듣기가 힘들다고 한다. 결국 호모 사피엔스가 언어구사능력에 있어서 독보적인 존재가 된 것은 자기 길들이기에 앞서 발성기관의 구조가 명쾌한 발음을 구사할 수 있게 갖춰졌기 때문 아닐까. 태아발생과정에서 발성기관이 형성될 때 여러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