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체화
구상
구현
뉴스
"
형상화
"(으)로 총 14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서 영감 얻은 예술작품이 궁금하다면
2015.03.29
작가 팀의 작품 ‘헨릭입센위성’이 인상적이었다. 작품은 나무로 인공위성 모양을
형상화
한 것이다. 연구원 로비에 모형으로만 보거나, 뉴스에서 사진으로 등장하던 인공위성이 멋진 조각품으로 재탄생한 것에 감동했다. 작동하지 않는 위성을 통해 관념만 존재하는 인류의 ‘우주생활’을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전기자동차는 전송거리를 늘리는 대신 대용량 전기를 전달하기 유리하도록 ‘자기공진
형상화
기술(SMFIR)’을 개발했다. KAIST는 한국철도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해 시속 300km급 차세대 고속열차에 이 기술을 적용해 테스트를 마쳤다. 조동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가까운 미래에는 ... ...
초소형 3층 건물 만드는 비법
2015.01.11
있을 거라고 추측할 뿐이다. 표지 이미지는 2차원 구조를 3차원으로 만드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으로 구조물의 이름은 ‘3중층 건물’이다. 미국 일리노이대와 노스웨스턴대, 한양대 연구진이 공동으로 작성한 논문을 보면 아기자기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3차원 구조물들을 구경하는 재미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 과학계 10대 뉴스가 궁금하다면…
2014.12.21
맞춰 ‘올해의 인물’ 10명을 선정했다. 네이처 표지를 장식한 로봇 역시 숫자 10을
형상화
한 것이다. 네이처가 선정한 인물 10명 중 가장 눈에 띄는 사람은 ESA의 비행 책임자인 ‘안드레아 아코마조’다. 그는 탐사선 ‘로제타’의 탐사로봇이 혜성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 ...
보자기와 로봇의 만남, 예술이 과학을 더(+)하다
2014.12.02
물의 이미지를
형상화
했다. 왕지원 작가의 키네틱아트 작품. 여러 개의 기어로 물을
형상화
했다. - KIST 제공 이병권 KIST 원장은 “KISTART 레지던시를 통해 과학자와 예술가가 교류하며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며 “이번 전시를 기반으로 과학자와 예술가가 서로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주 ‘네이처’ 표지를 장식했다. 표지 속 벤다이어그램에서 두 집합은 사람의 머리를
형상화
했다. 또 두 집합이 겹치는 부분인 교집합은 쥐로 나타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교집합은 쥐라는 의미다. 실제로 쥐는 사람의 생명현상과 질병 등을 연구할 때 쓰는 최고의 동물 모델이다. 미국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차세대 가속기 후보로 꼽히는 ‘플라스마 웨이크필드 가속기’가 작동하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이다. 세계 각국은 현재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운영하는 거대강입자가속기(LHC)처럼 초대형 가속기를 건설하는 데 비용과 장소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길이만 27km에 이르는 ... ...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0’ 주목한 까닭
2014.10.19
표지는 특정 연구 결과 대신 전세계 대학에 불고 있는 변화의 바람을 다룬 기획 기사를
형상화
했다. 11세기에 대학이 처음 등장했을 때 가장 우선시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나 유클리드 같은 고대 현인들의 저작을 발견하고 연구해서 제자들에게 그 내용을 알려주는 것이었다. 이후 과학 지식과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KAIST 물리학과 교수의 복잡계 이론에서 영감을 얻어 작품화했다. 김희원 작가의 시간을
형상화
한 ‘누군가의 시계’와 사진을 소재로 삼은 ‘누군가의 창문’도 눈길을 끌었다. 김 작가는 “표준연 광도센터 이동훈 연구원과 대화하면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고 밝혔다. 일본 영상 예술가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부모의 생활습관 아기에게 고스란히 ‘유전’
2014.08.17
표지에 아기 사진을 실었다. 오동통한 아기를 엄마와 아빠가 손으로 받쳐 육아를
형상화
했다. 흔히 아기가 태어난 뒤 부모가 아기를 돌보는 과정을 육아라고 한다. 하지만 호주 아델레이드대 의대 사라 로버트슨 교수는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 논문에서 육아의 시작 시기를 다시 지정했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