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뉴스
"
지형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
과학동아
l
2023.01.21
달 탐사 로버가 영구음영지역 내 운행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지형
관측 데이터는 얼음 입자 형성 과정을 추적하는 데도 활용된다. 즉 다누리에 탑재된 섀도캠이 촬영해 지구로 보내올 자료들이 2025년 아르테미스 3호기의 착륙 지점을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것이다. ... ...
험준한
지형
·오래된 연식이 네팔 항공기 사고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아밋 싱 인도 안전문제재단 창립자는 인도 ANI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네팔의 산악
지형
은 매우 까다롭고 조종사의 훈련 수준이 높아야만 한다"며 "깊은 계곡 사이로 공항이 있고 사방이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고 말했다. 험준한 산맥 사이로 빠르게 변하는 날씨도 중요한 변수가 된다. 네팔은 ... ...
원전 확대 필수조건 '사용후핵연료' 처분...기술은 '성숙' 실증은 '아직'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따라 흐르는 지하수를 만나 밖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조 단장은 암반의
지형
적 특성을 분석해 이런 위험을 사전에 대비한다. 지하터널을 이루는 암반 구조 균열 모델을 만들어 지하수의 흐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조 단장은 "실제 집수량과 비교해 보니 큰 ... ...
겨울축제 중단케 한 '이상기온' 원인은 결국 '인간'
동아사이언스
l
2023.01.15
가속화할 수 있어서다. 최근 영구동토층 기온은 올라가고 있고 녹아 늪처럼 변한
지형
이 자주 발견되고 있다. 사진은 시베리아 야말 지역에 형성된 영구동토층 해빙 현장이다. 유럽우주국 제공 1월 초 유럽 9개국은 역대 최고 기온을 기록했으며 새해 첫날 스위스는 사상 처음 영상 20도를 기록했다. ... ...
달 궤도 진입 '다누리'가 달 상공서 촬영한 지구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3
촬영해 정보를 수집하고 운석이 떨어져 새로 생긴 크레이터를 관측해 달의 최신
지형
정보를 얻는다. 지난해 11월 항우연은 다누리가 달로 향하는 항행 도중 고해상도 카메라로 연속 촬영한 사진 31장을 공개하기도 했다. 지난해 9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한 달간 촬영된 이 사진을 모아 보면 달이 ... ...
초속 70cm 철제 벽면 타고오르는 사족보행 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이용해 단차나 요철이 있는 표면에서는 이동성이 제한되고, 사족보행 로봇 역시 장애물
지형
에서 이동성을 확보하나 이동 속도가 현저히 느리거나 다양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없다. 연구팀이 개발한 사족보행 로봇은 이동 속도를 크게 끌어 올렸다. 특별한 ‘자석발’이 비결이다. 이 자석발은 ... ...
지질연 "10월 발생 규모 4.1 괴산지진은 조곡단층대가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2.20
백마령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 연구팀은 정밀한 고지진 기록 탐지를 위해 고해상도
지형
조사와 천부지구물리탐사, 시추 및 굴착 조사 등 추가 조사 계획을 수립했다. 특히 괴산 및 속리산 지역의 지진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다. 내년 고밀도관측소 10개소를 구축해 미소지진의 감시와 정밀 ... ...
달 표면을 제 집처럼...3년 내 로버 12대 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9
만료됐다. 이번에 발사된 라시드의 임무는 달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달
지형
을 분석하고 달 먼지의 크기와 구성 성분을 현미경 관찰 수준으로 연구한다. 영하 173도까지 기온이 떨어지는 달의 밤을 견디기 위한 기술 검증도 진행한다. 이 기술은 향후 화성 탐사에도 적용될 것으로 ... ...
한국은 공룡 발자국 천국...40년간 고생물학 지평 넓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12.17
건, 그만큼 한반도가 공룡들이 살기 좋은 환경이었다는 의미예요. 세 번째 이유는 한국의
지형
, 지질 특성 때문이에요. 우리나라는 당시 남해안엔 거대한 호숫가가 있어 모래나 자갈밭보다 발자국이 잘 남을 수 있는 환경이었어요. 뼈 화석은 동물이 한꺼번에 휩쓸려 파묻히는 범람원에서 잘 ... ...
1조5000억원 들여 지구 물 시스템의 맥박 짚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5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NASA는 15일(현지시간) 오전 6시 46분 지표수 및 해양
지형
(SWOT) 위성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 팰컨9 발사체에 실어 발사한다. 한국 시간으로는 15일 오후 8시 46분이다. SWOT은 3년간 지구 둘레를 돌며 90% 이상의 바다, 호수, 저수지,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