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음
noise
누화
잡소리
잡담
잡말
거슬리는 소리
뉴스
"
잡음
"(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너무 흐릿해" 블랙홀 관측 이미지는 왜 뿌옇게 보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독일 막스플랑크 전파천문학연구소(MPIfR)에 보내졌다. 이들 기관 연구진은 데이터의
잡음
을 제거하고 신호를 분석하는 것 이외에도 전파망원경의 위치 차이에 따른 블랙홀 위치 차이를 보정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수정과 모델링을 거쳤지만 상상과 이론에만 의존해 묘사했던 블랙홀의 모습을 ... ...
“다음 목표는 블랙홀 ‘동영상’ 촬영" 한국 전파망원경 참여도 타진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막스플랑크 전파연구소 연구원은 많은 전파를 모으면 그만큼 감도가 높아져 더 세밀하고
잡음
없는 관측이 가능하다”며 “이를 위해 미국 애리조나와 프랑스 등의 전파망원경이 앞으로 추가로 합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 등 동아시아 전파망원경이 참여하면 더욱 정밀한 관측이 이뤄질 수 ... ...
'길일 잡고 택배로 자료 보내 첫 영상 만들었다' 블랙홀 첫 관측 뒷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때문에 블랙홀 관찰 위치가 미묘하게 다른 것을 교정하고, 각 전파망원경 고유의
잡음
도 제거하는 데 쓰였다. 이렇게 하나로 합쳐진 데이터는 2017년 6월 4개 팀에게 배포됐다. 각 팀은 팀마다 보유한 고유한 알고리즘으로 데이터에서 영상을 생성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네 팀은 모두 이전에 다른 ... ...
“1.1km 지하에서 우주를 본다” IBS, 새 우주입자연구시설 ARF 12일 착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충돌하며 발생하는 입자 등 ‘
잡음
’이 많아 정확하게 관측하기가 어렵다. 이런 이유로
잡음
이 수백만 분의 1로 줄어드는 지하 깊숙한 곳에 검출기를 설치한다. ARF는 철광 지하 1.1km 지하에 건설된다. IBS는 “건설을 위해 깊은 지하에 터널을 뚫는 작업이 필요한데 지질, 지하수 등에 의한 변수에 ... ...
차세대 반도체 성능 좌우할 초박막층 거칠기 관리 기준 세계 최초 정의
동아사이언스
l
2019.04.04
훑으면서 발생하는 원자 간 힘을 측정해 표면 영상을 얻는다. 신 책임연구원은 “
잡음
이 적은 원자힘현미경을 개발해 수직 패턴의 임계 치수 측정에 성공하는 등 연구역량을 확보한 것이 이번 성과로 이어졌다”며 “국제 표준 용어로도 등록이 기대되는 임계 거칠기는 새로운 공정 기준으로서 ... ...
땅밑에서 우주 탄생 비밀 푼다…日 아시아 첫 중력파검출기 연말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카그라가 가동되면 세계 중력파 검출기는 총 4개가 된다. 검출기 수가 늘어나면 불필요한
잡음
신호를 잘 잡아낼 수 있어 그동안 감지되지 못했던 중력파까지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중력파 발생지도 더 신속,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카그라협력단의 가지타 다카아키 일본 도교대 교수는 ... ...
'질병의 공식'을 찾는 수학자들
수학동아
l
2018.12.01
같은 부위를 촬영한 여러 이미지를 비교학습하면서 영상에서 어떤 요소들이 필요 없는
잡음
인지를 인식하게 만든 것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CT 영상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알고리듬도 만들었다. 연구를 이끈 전 선임연구원은 “영상의학과 전문가들이 판정한 결과 영상의 화질을 5단계로 ... ...
과기계 또 인사
잡음
…백경희 과기자문위 위원 돌연 사퇴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교수 시절 연구비 변칙 운영 의혹, 연구비 변칙 관리 자진신고 과기자문위는 17일 자문위원 정식 해촉... 정부 과기계 인사 검증 다시 도마 위에 올라 백경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전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위원장,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이 위원직에서 사임한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백 교수 ... ...
‘신의 입자’ 힉스 보존의 바닥쿼크 붕괴 확인...“표준모형 정교함 다시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8.29
찾는 데 성공했다. 훨씬 확률이 높은 붕괴 패턴임에도 발견하는 데 6년이나 걸린 것은,
잡음
에 해당하는 다른 반응이 훨씬 많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2012년 힉스 입자를 발견할 때 관측한 붕괴반응인 광자 쌍 붕괴는 비교적 단순해 관측이 쉽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표준모형의 정교함이 다시 한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하는 건 아니라는 말이다. 그러나 유전자 발현 데이터가 쌓이면서 이런 현상을 단순한
잡음
으로 볼 수 없다는 사실이 점차 분명해졌다. 특정 조직에서 일관되게 발현되는 후각수용체 유전자가 한두 개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몇몇 후각수용체의 경우 해당 조직에서 하는 역할도 밝혀졌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