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아"(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의 시선 59] 뜻대로 안 되는 꿈속의 드라마2017.04.01
- 알다시피 모든 꿈은 꿈꾸는 이의 의지와 무관하게 진행될뿐더러, 꿈의 연출가는 현실의 자아가 아니라, 꿈꾸는 이의 ‘무의식’이니 말이다. 잠 속의 드라마, 꿈. 그 플롯을 꿈 바깥의 현실에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는 점에서 꿈이 미지의 미래와 같아서인지, 꿈은 예지(豫知), 즉 미래에 일어날 일을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의견이다. 정작 중요한 행동 수정에 집중하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때로는 되려 자아를 방어하기 위해 ‘내가 잘못한 게 아니야!’라며 스스로를 방어하며 애꿎은 다른 사람들을 비난하게 되기 때문이다. 강한 죄책감과 나 자신이 쓸모없는 인간인 것 같다는 부끄러움은 그대로 가지고 있기에는 너무 ... ...
- [카드뉴스]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동아사이언스 l2017.03.21
- 접촉하기 쉽습니다. 때문에 전체적으로 자기표현의 기준이 올라가죠. 소셜 미디어의 자아도취자들에게 휘둘리지 않고 자기만의 관점을 유지하는 것이 어른의 중2병을 고치는 첫걸음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참고: 과학동아 2013년 10월호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 ... ...
- 똑똑해지는 인공지능… 단순 기계인가 별도 인격체인가동아사이언스 l2017.02.25
- ●인간 뛰어넘는 ‘초(超) AI’ 어떻게 막을까 AI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사람처럼 자아를 가지고 주체적으로 사고할 수 있으면 ‘강한 AI(strong AI)’으로, 그렇지 못한 AI는 ‘약한 AI(weak AI)’로 구분한다. 수많은 영화나 만화, 소설 속에 등장하는 AI는 대부분 ‘강한 AI’다. 영화 ... ...
- ‘사람이 아니무니다’ 캡차(CAPTCHA) 못 읽는 내가 문제?동아사이언스 l2017.02.20
- 한편, 과학자들은 언젠가는 인공지능이 지성, 이성, 감성 등 사람 고유의 능력은 물론, 자아와 자의식까지 갖추게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영화 ‘어벤저스’ 속 울트론과 같은 ‘초지능(super AI)’가 현실 속에 등장하겠지요. 하지만 당분간은 캡차 기술처럼 계속 쫓고 쫓기는 관계가 유지될 겁니다. ... ...
- [테마가 있는 영화] ‘아메리칸 드림’의 허상, 마이클 무어 감독의 ‘다음 침공은 어디?’2017.02.04
- 통에 영화 속에 미국의 모습이 자주 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미국인 스스로 통렬한 자아비판은 가능하다. 감독은 다른 나라에서 펼치고 있는 학생 중심 교육 정책과, 노동자와 여성, 재소자 인권에 대한 존중 문화를 보여주는 한편으로, 여전히 시위자들과 용의자들을 폭력적으로 진압하는 미국의 ... ...
- 툭하면 눈물부터 납니다. 저 어떡해야 하나요?2017.01.21
- 정신건강 프로젝트- 마음의 소리를 들어라 지그문트 프로이트 (1921), 집단 심리학과 자아 분석(Messenpsychologie und Ich-Analyse) Cartwright, John (2008),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Cambridge, Mass.: MIT Press. ※ 필자소개 박한선. 성안드레아 병원 정신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경희대 의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 ...
- EU, 인공지능 로봇 ‘전자인간’으로 인정...“스스로 진화하지 말 것”동아사이언스 l2017.01.19
- 치부해 차갑게 대한다. 사람과 같은 권리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다른 소유물과는 달리 자아를 가진 존재. 마치 중세시대 이전의 노예 제도를 생각하면 비슷할까. 작품 속에서 안드로이드의 지위나 권한은 어디까지나 그 안드로이드를 구입한 인간이 누구냐에 따라 바뀐다. 마치 조선시대 왕궁의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2016.12.23
- 다룬다”며 “내러티브에 대한 민감성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세계 속에서 자아와 타인의 마음을 잇는 주요한 연결고리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브루너는 “인간은 ‘이야기하는 동물(Home narraticus)’이다. 자신의 삶을 통일된 이야기로 구성할 수 있는 사람이 훌륭한 인간”이라며 ... ...
- 화술전문가가 분석한 박근혜 대통령 3차 대국민 ‘담화(담와?)’2016.12.01
- 즉각적인 하야를 외치며 거리로 나오는 상황인데, 여전히 본인의 정치인생을 회고하며 자아도취에 빠져있다. 주연이 되고 싶어 하지만, 정작 본인은 타인에 대해 별 관심이 없음, 즉 공감능력의 부재를 드러낸다. 2. 사건의 핵심 파악 못해 단 한순간도 저의 사익을 추구하지 않았고, 작은 사심도 ... ...
이전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