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DGIST, 빛에 의한 온도 변화 측정하는 온도 센서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06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저항성을 강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셀 리포트' 11월 8
일자
에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장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는 비만 암컷 생쥐의 질 내에 유입된 균들이 아미노산의 일종인 아르기닌을 활발히 생산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아르기닌은 질 내의 ... ...
우뇌 연결이 공감능력 만든다…자폐, 사이코패스 연구에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2.12.05
우뇌의 뇌파 동기화가 공감 기능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뉴런' 12월 2
일자
에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뇌파 동기화는 뇌 영역들 간 기능적 연결을 의미한다. 생쥐는 공포를 느끼는 순간 동작을 멈추는 행동을 보인다. 연구팀은 상자 속 두 생쥐 중 한쪽의 생쥐에게만 전기충격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예상보다 더 많은 마그마를 품은 옐로스톤 화산
동아사이언스
l
2022.12.04
옐로스톤 화산 아래 당초 추정치보다 많은 양의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1
일자
(현지시간)에 소개했다. 마그마는 지하에서 암석이 고온으로 가열돼 용융된 것을 말한다. 로스 맥과이어 미국 일리노이대 지질학과 교수는 지진 단층 촬영을 통해 옐로스톤 화산 아래 지진파의 속도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구글 양자 프로세서로 순간이동 ‘웜홀’ 가능성 엿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3
여겨지는 ‘웜홀’이 양자 컴퓨터에 구현된 프로세서상에서 구현됐다. 네이처는 12월 1
일자
표지에 컴퓨터 회로를 단순화한 모식도에서 회로 사이를 뚫고 지나가는 빛줄기를 담은 모습을 실었다. 웜홀은 공상과학(SF) 영화나 소설에서 굉장히 먼 거리를 순간이동하는 통로로 묘사되곤 했다. 성간 ... ...
바둑·체스 이어 보드게임도 정복…인공지능, 새로운 지평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인간 플레이어 못지 않은 수준의 실력을 갖췄다는 내용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2월 1
일자
에 발표했다. 보드게임은 AI 분야의 진보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수단이다. 통제된 환경에서 AI가 전략을 짜고 실행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말을 움직이며 상대의 숨겨진 깃발을 찾는 ... ...
종이만큼 얇은 메타표면으로 빛의 특성 자유롭게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1월 3
일자
에 발표됐다. KAIST 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이 개발한 유니버설 메타표면을 이용해 3D 홀로그램을 구현한 모습. KAIST 제공 ...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청소년 뇌는 3년 더 빨리 늙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변화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생물 심리학: 글로벌 오픈 사이언스' 12월 1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6년 11월부터 2019년 11월 사이 81명의 청소년 뇌 MRI 스캔 결과를 팬데믹 봉쇄가 끝난 2020년 10월부터 올해 3월 사이에 수집된 82건의 결과와 비교했다. 두 집단의 ... ...
우유 나오는 번데기로 유충 기른다…사회적 곤충 개미의 의사소통법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전체 개미군집의 체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11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 그간 개미에 대한 연구는 대다수 군집에 집중돼 개미 개체들간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전체 개미군집에서 번데기의 역할은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 ...
박쥐가 머라이어 캐리 뛰어넘는 가수 된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초음파를 낼 때 후두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해 국제학술지 '플로스 생물학' 11월 29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박쥐 5마리에서 후두를 채취하고 박쥐가 소리를 낼 때처럼 공기의 흐름을 만든 뒤 초당 최대 25만 프레임의 속도로 촬영해 성대가 진동하는 과정을 관찰했다. 그 결과 박쥐가 가성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임스 왓슨이 감추고 싶었던 유전자
2022.11.29
아직 잘 몰라 불리한 유전형을 지녔을 때 대응할 마땅한 방법이 없다. ‘네이처’ 24
일자
에는 이런 상태를 타개할 실마리를 주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APOE4 변이형이 알츠하이머병 위험성을 크게 높이는 이유를 밝혀낸 것이다. 미국 MIT 연구자들은 뇌에서 APOE 유전자가 발현되는 세포들을 조사한 결과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