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급
유통
분산
산란
전개
전파
euphony
뉴스
"
유포
"(으)로 총 150건 검색되었습니다.
집 앞에 상어가 나타났다? 진위논란
2016.10.13
공포감이 든다고 말하는 댓글도 많았다. 그런데 위 이미지는 이미 수년 전부터 인터넷에
유포
된 것이다. 상어의 모습은 합성이 된 것은 아닐까. 이 부분의 진위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실제 바닷물이 도시로 올라오면 상어도 따라 올 수 있겠지만, 실제로 그런 일이 벌어질 확률은 높은 않을 ... ...
‘사람을 공격한 거대 비단뱀’ 스토리
2016.09.22
뱀이다. 사람도 둘 보인다. 아마 남자들이 뱀을 사냥을 한 것 같다. 사진은 해외 SNS에서
유포
되면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원래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PNAS에 실렸던 사진이다. 촬영 장소는 필리핀 루손섬이고 연도는 1970년이다. 미국의 인류학자가 촬영했다. 사진 속의 뱀은 6.9미터 길이의 그물 ... ...
절반 잡아먹힌 상어 ‘SNS 화제’
2016.09.19
팝뉴스 제공 해외 SNS에서 괴담과 함께 빠르게
유포
되고 있는 이미지다. 미국 플로리다 데이토나 해변에서 ‘절반 상어’가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상어는 강력한 포식자다. 그리고 사진 속 상어는 덩치가 작지도 않을 것 같다. 바닷속의 무엇이 상어를 이렇게 반토막 내고 말았을까. 많은 네티즌들은 ... ...
중국, 어린이 납치 장면 포착돼
2016.09.10
엄마가 쫓아갔지만 승합차는 빠른 속도로 달아나버렸다. 영상은 웨이보 등 인터넷에
유포
되면서 공분을 사고 있다. 중국에서는 연간 20만 명의 어린이가 인신매매범에 의해 납치되며 그 중에 0.1%만 집으로 돌아온다는 통계가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도로’
2016.09.03
나론에 거주하는 이가 지난달 27일 트위터에 공개했던 것인데, 해외 인터넷에 급속히
유포
되면서 화제와 걱정을 낳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새끼 상어 통째로 요리해 ‘논란’
2016.08.13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 충격적이라는 환경론자의 반응이다. 사진은 SNS에서 빠르게
유포
되면서 해외 네티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무엇보다 이런 요리를 먹지 않고 거부하는 것이 상어 보호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길이 20m, 세계 최대 괴물 메기” 진위 논란
2016.08.13
제공 맛있는(?) 매운탕의 재료인 메기가 20미터까지 자랄 수 있을까. 해외 SNS에서 빠르게
유포
되면서 화제를 낳은 영상의 제목은 ‘세계에서 가장 큰 메기.’ 길이가 20미터 정도는 된다는 평가다. 불도저를 이용해 굴려야 할 만큼 덩치가 크다. 보통 메기의 수백 배에 달하는 덩치다. 매운탕을 끌이면 ... ...
‘포켓몬 고’ 열풍에 악성코드까지 등장…비공식 앱 설치 주의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7.14
설치하려는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을 노린 정보유출 악성코드가
유포
되고 있다. 유럽의 엔드포인트 보안 전문업체인 ESET(이셋)의 국내 법인인 이셋코리아(대표 김남욱)은 ‘포켓몬 고’ 게임의 불법 복사본을 통해 악성코드가 배포되고 있다고 14일 밝히고, 이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 ...
‘절벽 위에 세운 성’ 화제
2016.07.10
리히텐슈타인 성의 사진이 해외 SNS에서 인기가 높다. 특히 위의 사진이 SNS에서 빠르게
유포
되면서 놀라움을 자아내고 있는데, 뛰어난 건축 기술에 감탄하게 된다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많다. 리히텐슈타인 성은 1840년대에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스바비안 알프스에 있는 절벽 위에 세워졌다. 해외 ... ...
내 PC를 인질로 협박하는 사이버 테러 ‘랜섬웨어’
2016.06.17
웹 브라우저의 플래시를 차단하라. 플래시와 익스플로러의 취약점을 간파해 광고로
유포
되는 랜섬웨어를 막기 위해 플래시를 아예 차단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크롬이나 익스플로러 모두 자체적으로 플래시 차단 기능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도구, 추가 기능에 들어가서 플래시 사용을 끄면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