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엄지"(으)로 총 1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폰6s 영접(?) 전 알면 좋은 신기능 4가지2015.10.16
- 홈버튼을 누른다는 편견에서부터 탈피해야 합니다. 홈버튼 대신에 락버튼이 있습니다. 엄지손가락을 비틀어 대거나 지문이 등록되지 않은 다른 손가락으로 누르는 방법도 있죠. 알림메시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애플워치를 구입한다면 애플에 낚인(?)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한층 민감해진 아이폰6S의 ... ...
- 300만 년 전 살았던 새 인류, ‘호모 날레디’2015.10.07
- 짜 맞춘 결과 호모 날레디 성인의 오른 손 형태를 거의 완성할 수 있었다. 호모 날레디의 엄지손가락은 마치 사람처럼 물건을 꽉 쥘 수 있는 형태이며, 이는 호모 날레디가 석기를 이용했음을 암시한다. 연구팀의 트레이시 키벨 영국 켄트대 교수는 “뇌 용량이 작은 호모 날레디의 화석에서 도구를 ... ...
-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09.27
- 다리와 발은 호모 속의 특징이 분명해 두발 보행에 능했을 것으로 보였다. 손은 엄지와 손바닥, 손목 등에서 현생인류나 네안데르탈인에게서 볼 수 있는 후대의 형질이 나타났지만, 손가락 뼈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 굽어 있었다. 굽은 손가락은 나무타기의 흔적으로, 원시적인 특징이다. ...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2015.09.14
- 비율이 현생인류와 가깝지만 약간 휘어져 있어 나무를 타는데 적합하다. 반면 손바닥과 엄지손가락은 현생인류처럼 도구를 다루는데 적합하다. - eLife 제공 ● 연대 측정 아직 안 돼 있어 그럼에도 이번 발표에서 가장 실망스러운 부분은 연대측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발굴지가 ...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04.27
- 잃은 각종 새들의 두개골이 일렬로 전시돼 있었다. 주먹보다 큰 독수리의 두개골부터 엄지손가락 한 마디 길이도 안 되는 작은 물새의 두개골까지. 크기는 달랐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었다. 뻥 뚫린 커다란 안구의 흔적. 눈은 클수록 해상도가 좋다. 망막에 맺히는 상이 커 세세한 부분까지 볼 수 있기 ... ...
- 멀리 떨어진 연인에게, 촉감까지 전달2015.04.22
- 부위에 따라 다른 감정을 느낀다는 점에 주목했다. 기존 학술연구를 종합한 결과 엄지, 검지나 손바닥 중간 부분에 가해지는 짧고 날카로운 느낌은 사람을 들뜨게 하는 반면, 손 가장자리에 가해지는 약한 자극은 기분을 나쁘게 한다는 것. 마리나 교수팀은 여기에 착안해 공기자극을 이용해 ... ...
- 파킨슨병 조기검진 스마트폰과 컴퓨터만 있으면 ‘OK’2015.04.14
- 사용자 7억 명을 대상으로 파킨슨 병을 진단할 수 있는 앱을 공개했다. 앱을 실행해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20초간 화면을 번갈아 두드리는 동작을 하면 그 패턴을 분석해 파킨슨병 발명유부를 확인한다. 애플은 다양한 방법으로 언제 어디서나 검진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사용자가 소리를 ... ...
- 무지외반증 남성환자 급증…전 연령대 남성 환자 증가율은 61% 수준동아닷컴 l2015.03.12
- 최근 무지외반증 남성환자가 급증해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 관절을 기준으로 발가락의 뼈가 바깥쪽으로 치우지고, 발뒤꿈치 쪽 뼈는 안쪽으로 치우치는 변형을 말한다. 앞이 좁고 발뒤꿈치를 불편하게 하는 하이힐을 자주 신을 경우 이 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 ...
- 장갑 끼고 드론 조종해봤나2015.02.27
- 붙이자 공중에 떠 있던 무인기(드론)가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번엔 검지 대신 약지와 엄지를 맞닿게 하자 드론이 반대 방향으로 날아갔다. 딱딱하고 무거운 컨트롤러 없이 장갑을 낀 채 손가락을 움직이는 것만으로 드론을 자유자재로 조종한 것이다. 장갑의 비밀은 전기가 흐르면서도 일반 ...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2015.01.14
- 있습니다. 온전히 직립보행을 하게 된 종과는 다른 특징입니다. 만약 직립보행을 했다면 엄지발가락은 가장 크고 다른 발가락과 평행을 이루고 있어야 합니다(우리가 그런 발가락을 갖고 있습니다). 라미두스의 발가락은 이종이 걸었을 뿐 아니라 나무도 탔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20세기 후반에 ... ...
이전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