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스위치"(으)로 총 248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에 '외국어' 능력 주입하는 시대 올까동아사이언스 l2019.10.06
- 주요 대상이다. 토드 로버츠 미국 텍사스대 신경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뇌 신경세포의 스위치를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법을 통해 참새목의 새인 금화조에 노래를 배운 기억을 인위적으로 집어넣었다. 이 금화조는 한번도 노래를 하는 다른 개체를 만난 적이 없는데 노래를 부르게 한 것이다 ... ...
- [2019노벨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생물학·의학 분야 유력 후보10人동아사이언스 l2019.10.03
- 1과 2라는 이온채널은 푸른 빛을 쬐면 양이온을 통과시킨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마치 스위치를 켰다 껐다 하는 것처럼 뇌의 특정 부분을 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해 오래 전 기억을 되살리는 방법이나 공포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는 ... ...
- "스마트폰 화면 전환, 아날로그 스위치로 확실하게" 학생과학발명품대회 국무총리상 동아사이언스 l2019.10.01
- 화면전환 스위치는 다이얼 형태다. 케이스 부분을 돌리면 돌리는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스위치가 눌리고, 그 결과 서로 다른 NFC 태그가 활성화돼 화면을 90도씩 전환한다. 다이얼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스마트폰의 화면이 시계방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화면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씩 ... ...
- '한번 쓴 마스크 구분할 방법 없을까?' 일상 호기심에서 시작한 참신한 발명들동아사이언스 l2019.10.01
- 입력장치를 구상했다. 다이얼의 케이스 부분을 돌리면 돌리는 방향에 따라 각기 다른 스위치가 눌리고, 그 결과 서로 다른 NFC 태그가 활성화돼 화면을 90도씩 전환한다. 이 군은 코일부터 스위치, 기판 등을 손수 제작하고 개량하며 작품을 완성했다.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이성민 학생(경기 보평고 ... ...
- 레이저 쏘면 뇌신경 ‘ON’… 빛으로 동물행동 제어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9.27
- 끄는 기술을 개발했다. 평소에는 단백질이 기능을 하지 않고 있다가 빛을 비추면 마치 스위치를 켠 것처럼 작동하는 원리다. 스마트폰 손전등이나 레이저 포인터로 켜고 끈다. 허 교수는 “광유전학을 이용하려면 지금까지는 수술을 통해 실험동물의 뇌에 광섬유를 심어야 했다”며 “수술을 하지 ... ...
- 광유전학부터 계량경제학까지…올해 노벨상 유력 후보 19인동아사이언스 l2019.09.26
- 7개국 출신 19명의 연구자가 선정됐다. 생리의학상 분야에서는 빛에 반응하는 일종의 ‘스위치’를 뇌세포에 단 뒤 빛을 쪼여 뇌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획기적 신경과학 기술인 ‘광유전학’의 창시자 칼 다이서로스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와 게로 미셴보크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에른스트 ... ...
- 한수원, 가동 중인 원전 6기서 허가사항과 다른 기기 몰래 쓰다 무더기 적발동아사이언스 l2019.07.13
- 5·6호기와 한울 5·6호기, 신고리 1·2호기에서 제어봉의 위치를 지시하는 기기인 ‘리드 스위치 위치 전송기’(RSPT)와 노심 출구 온도를 계측하는 기기인 ‘내부 코어 장비’(ICI) 총 1644개를 교체하면서 허가문서가 제조사를 ‘웨스팅하우스’로 표기했지만 실제로는 A사의 기기가 498개 설치됐다. ... ...
- 수술없이 몸 밖에서 폐암 원인 유전자 진단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반응하도록 설계됐다. 특정 바이오마커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스스로 특정 형광 스위치들이 반응해 켜지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기존 2~3주가 걸리던 진단 시간을 줄여 3시간 이내에 다중의 바이오마커를 실시간으로 판별하므로 초간단, 초정밀 폐암 진단에 한 발짝 다가설 것”이라고 말했다. 엄 ... ...
- 레고로 기계 만들고 AI로 불량검수… 진화하는 공대 수업동아사이언스 l2019.06.07
- AI 기반의 검출기를 통해 파란색과 하얀색 칩을 분류하는 모습. KAIST 제공 스위치를 켜자 어른이 두 팔을 펼친 길이의 기계에서 모터 소리가 요란하게 났다. 장난감으로 여겨지던 ‘레고 블록’으로 만든 공장의 기계였다. 컨베이어벨트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면서 위에 놓인 둥글고 납작한, 파란색과 ... ...
- [표지로 읽는 과학] 어둠 속에서 색을 구분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5.12
- 빛의 특정 파장을 흡수해 뇌가 색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전기화학적 신호로 바꾸는 스위치인 단백질(옵신)이 들어있다. 광수용체 세포에서 발현되는 옵신 DNA의 수와 유형에 따라 동물이 감지하는 색상의 수가 결정된다. 원추세포가 색을 감지하는 이유는 여러 개의 옵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