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생
생사
뉴스
"
삶과죽음
"(으)로 총 1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욜로(YOLO)족을 위한 과학적 변명 몇 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2.19
위키미디어 제공 ‘인간에겐 4번의 생이 있다.’ 최근 인기리에 종영한 tvN의 드라마 ‘도깨비’에선 인간은 4번의 삶을 산다는 대사가 나왔다. 하지만 저승사자와 친한 사이가 아닌 이상 이번 삶이 몇 번째인지 알 수 없을 터. 할 수 있는 것은 이번이 마지막 삶이려니 생각하고 최선을 다하는 ... ...
죽어가던 소녀와 고양이 ‘감동 스토리’
팝뉴스
l
2017.02.15
팝뉴스 제공 전이성 골종양을 앓고 있던 12살 소녀 카일리. 고통스러운 방사선 치료를 열심히 버텨내고 마침내 마지막 치료를 받던 날 암세포가 전신으로 퍼져나갔다는 청천벽력과도 같은 소식을 듣게 된다. 의사로부터 생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듣고 결국 집으로 돌아온 카일리는 그토 ... ...
비닐봉투 속 강아지 구조
팝뉴스
l
2017.01.31
팝뉴스 제공 죽음의 문턱에 이르렀다가 극적으로 다시 새로운 삶을 얻게 된 한 견공의 사연이 누리꾼들의 가슴을 뭉클하게 만들었다. 인터넷 매체 보어드판다와 동물보호단체 소개에 따르면 지난 7월 루마니아 트란실바니아의 한 거리에서 구조된 이 강아지는 발견 당시 까만 비닐봉투 안에 담아 ... ...
[괴짜 과학자 시리즈②] 독을 먹어야 했던 흙수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7.01.24
1786년 5월 21일. 결혼한지 이틀밖에 되지 않은 새 신부의 곡소리가 마을을 뒤덮었습니다. 신혼의 단꿈에 젖어있던 그녀에게 왜 이런 비극적인 일이 일어났을까요? "남편은 정말 바보 같은 사람이었어요." 그녀의 남편인 칼 빌헬름 셸레는 스웨덴 출신으로 11형제 중 일곱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
2016.12.31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2017 신년기획_그것이 알고싶닭] ① 산란계? 육계? 무엇이 다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30
정유년 ‘닭’의 해가 찾아옵니다. 닭은 우리 민족에게는 새벽을 알리는 부지런함을 상징하는 새죠. 게다가 올해는 밟음을 상징하는 ‘붉은 닭’의 해입니다. 그런데 닭들이 연말에 시작된 조류독감으로 정말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죠? 조류독감(AI)의 유행으로 친구, 동료, 가족을 잃은 닭도 많고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 펨토초레이저로 화학반응의 명장면을 포착한 화학자 아흐메드 즈웨일
2016.12.27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지난 네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다. 어느새 2016년도 달력도 마지막 달만 남았다. 올 한 해 동안에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
2016.12.05
pixabay 제공 우리 삶의 3분의 1일나 차지하는 잠. 혹자는 잠을 죽음에 연관시키기도 한다. 잠이 매일 겪는 일시적인 죽음이라면 죽음은 영원이 깨지 않는 잠이라는 것이다. 건강에 관련된 일이 다 그렇듯이 잠도 잘 잘 때는 신경을 쓰지 않다가 점차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부쩍 관심을 ... ...
‘순실증’으로 사회가 엉망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2016.11.28
포커스뉴스 제공 ▶ 고민 요즘 세상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일들을 보면서, 저는 아주 혼란스럽습니다. 오히려 세상은 퇴보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요? 온종일 뉴스를 도배하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부정부패, 무능하고 부당한 권력에 희생당한 수많은 가치, 그리고 힘없는 사람들. 열심히 살아야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