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덕
은혜
덕행
미덕
덕택
선
도리
뉴스
"
덕
"(으)로 총 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저희 피자 맛의 비밀은 '데이터'에요" 임재원 고피자 대표
수학동아
l
2019.11.09
함께 만들어 줄 수 있는지 물어봤죠. 그때 같이 화
덕
을 만든 분은 현재 고피자의 화
덕
만 생산하는 공장의 대표님이 되셨지요. 앞으로는 전국의 모든 고피자 매장에 있는 고븐의 온도를 본사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본사로 보내는 기능을 가진 고븐을 만들 예정이에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올가을 태풍 한반도 미래 기후 맛보기
2019.10.15
태풍의 씨앗인 요동이 잘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반도는 이런 경향의
덕
을 보지 못할 것 같다. 태풍의 경우 적도에 가까운 지점의 발생은 줄어도 상대적으로 위도가 높은 곳에서 발생하는 1군과 3군은 오히려 발생 건수가 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사실 돌이켜보면 2012년 ... ...
"혁신적인 소재∙부품∙장비 만드는 국가가 패권 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만든 민족들이 패권을 쥐는 그런 패턴들이 역사적으로 보인다”며 일본의 수출금수 조치
덕
에 개발된 합성섬유 ‘폴리아마이드’의 사례에 대해 소개했다. 정 교수는 “세계2차대전 즈음 일본이 철강을 대량 수입해 군함을 만들자 철강 주생산국인 영국과 미국은 철강 수출을 중지됐다”며 “이에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처음 찾았다. 분광기 기술 개발과 함께 관측 데이터를 편견과 고정관념 없이 해석한
덕
에 전에는 도저히 발견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하던 대상을 찾았다. 노벨위원회 제공 이후 외계행성 관측기술은 더 정확해지고 더 다양해졌다. 이달 9일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외계행성은 4118개에 이른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쑥스러움이 많을수록 친구가 필요하다
2019.09.28
일이 있어도 끝까지 내 곁을 지켜줄 거라고 생각되는 친구들이 서넛 생겼다. 이 친구들
덕
에 삶이 어떻게 되어도 살아낼 수 있을 거라는 안정감이 생겼다. 모든 일이 다 잘못되더라도 내게는 여전히 좋은 친구들이 있을 것이다. 세상의 반을 가진 듯한 느낌이다. '내가 최고야!' 같은 자신감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흉악범은 미디어의 관심을 즐긴다
2019.09.21
There's no such thing as bad publicity)'는 말이 있다. 나쁜 일로든 어쨌든 한 번 유명해지면 그
덕
을 본다는 뜻이다. 아무리 그래도 범죄 같은 나쁜 일은 예외일 것 같지만, 범죄를 통해서라도 자신의 이름을 떨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있다. 안타까운 사실은 이런 사람들의 계략에 미디어와 대중이 쉽게 ... ...
"연휴인데 어떡하지?"…동물 '삼시세끼' 걱정에 잠 못이루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12
시설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연휴에도 일을 한다. 교대근무로 밤잠을 지새우며 일하는
덕
에 나머지 사람들이 편히 연휴를 보낼 수 있다. 이렇게 연휴를 잊은 사람들 중에 과학자들이 있다. 특히 거대 장비를 운용하는 과학자와 기술자, 실험동물을 키우는 연구자들은 연휴에도 실험실 곁을 떠나지 못할 ... ...
"슈퍼컴
덕
에 아인슈타인 아니어도 천재적 연구성과 내는 시대 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캐서린 옐릭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 계산과학부 부소장은 이달 5일 서울 서초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한국 슈퍼컴퓨팅 컨퍼런스 및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워크숍에서 "기계학습과 온라인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발달로 아인슈타인이 아닌 누구나 과학을 연구하는 시대가 되어가고 ... ...
로봇 팔·다리 개발에 집중하는 세계 IT 기업들…산업 판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지,
덕
, 체’를 강조하는데 기계의 지능이 AI, 몸이 로봇이라면 둘 사이의 상호작용인 ‘
덕
’에 해당하는 게 바로 머신러닝”이라며 “한국에서는 ‘알파고’ 열풍으로 머신러닝에 대한 열풍이 강한데, 물리적 세계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로봇공학과의 결합이 필수”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사람은 위약 그룹(7325명)이 74명인데 비해 접종 그룹(7347명)은 51명이었다. 20여 명이 백신
덕
을 본 셈이다. 그러나 백신의 효과가 50%에도 미치지 못했기 때문에 제품화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7월 25일 미국립보건원(NIH)은 ‘모자이코 연구(Mosaico study)’라고 명명한 HIV 백신 임상 3상 시험을 9월에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