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의대수
일의
홍수
큰물
뉴스
"
대수
"(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상 IoT 중계기 숫자 최소화하는 기술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송 선임연구원은 “육상에서도 통신망을 갖추기 위한 기지국을 설치할 때 최적의 설치
대수
를 분석한 후 설치한다”며 “해양에는 이러한 개념이 없었던 만큼 게이트웨이를 설치할 때 비용 절감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 연구결과는 지난달 30일 국제학술지 국제전기전자학회(IEEE) ... ...
현대 쿠웨이트 교량·삼성 10나노D램…코로나19 딛고 올해를 빛낸 산업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0.28
쿠웨이트에 건설한 '자베르 코즈웨이'를 지난해에 완공한 점을 높이 평가 받았다. 리비아
대수
로 공사 이후 국내 건설사 최대 규모의 토목 공사로 세계 최대 규모의 사전제작 PC거더(고량상부구조)를 이용하는 등 최신 건설 기술을 적용하고 해양생물 대체서식지를 조성하는 등 기술과 환경 양쪽에서 ... ...
[주말N수학]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
수학동아
l
2020.10.17
전혀 다르다고 생각했던 두 분야 사이의 연결 고리를 찾은 것이다. ‘곱셈표’라는
대수
적인 구조로부터 ‘미분 가능한 정도’라는 해석학적인 구조를 복원할 수 있다는 사실은 수학에서 대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김 교수는 “가장 멀다고도 할 수 있는 두 분야이기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전 해 타던 산불이 잦아든 뒤 지하 토탄층을 태우며 타들어가다 결국 지하수가 있는 층(
대수
층)까지 모두 태운 뒤 다시 지표로 솟아올라 이듬해 봄에 지표를 뚫고 인근 지역 식생을 태운다. 여기에 6월부터 시베리아에 닥친 기록적인 열파로 대지가 건조해지면서 불이 더 확산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 ...
모성애·부성애 유발 단백질 발견한 생명과학자 실리콘밸리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뉴 호라이즌 수학상 수상자는 총 3명이다. 바가브 바트 미국 미시간대 교수는
대수
기하학 중에서도 P 진수 코호몰로지(가환군의 수열 연구) 이론을 개발한 공로를, 알렌산드르 로구노프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타원 방정식에 대한 새로운 해법을 제시한 공로를, 송선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
닻 올리는 IBS 31번째 연구단...황준묵 복소기하학 연구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불리는 ‘필즈상’ 시상식이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한국인 최초로 2006년
대수
기하학 및 복소기하학 분과 초청강연을 했으며 2014년 세계수학자대회에서는 기조강연을 하기도 했다. 황 단장은 또 수학 관련 국제학술지 중 가장 역사가 오래 된 ‘크렐레 저널’을 비롯한 저명 학술지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라카 원전의 시운전을 지켜보며
2020.08.05
뜨거운 사막에서의 대규모 토목 공사는 우리에게 더 이상 낯선 일이 아니다. 리비아의
대수
로도 건설했고, 두바이의 버즈 칼리파도 지었다. 그러나 바라카 원전은 차원이 다르다. 단순한 토목 공사가 아니다. 전 세계에서 원전을 설계‧시공하는 기술을 가진 나라는 손에 꼽을 정도다. ... ...
금속 '망간' 먹는 박테리아 첫 발견…에너지원으로 활용
연합뉴스
l
2020.07.16
지하수에 있다는 증거가 있다"며 "대학이 있는 패서디나 일부 지역의 음용수는 지하
대수
층에서 뽑아 올린다"고 말했다. 실험실에서 망간이 담긴 유리그릇에 검은색 망간산화물이 생성된 모습(사진 맨 왼쪽 위)과 박테리아가 탄산망간(MnCO₃)을 산화시켜 생성된 망간산화물 사진(오른쪽에서 두 ... ...
1차원 공간 대칭성 증명 김상현 고등과학원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7월 수상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14일자에 게재됐다. 김상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1차원 공간이 지니는 미분대칭성의
대수
적 성질을 미분 가능한 정도와 연결한 최초의 체계적인 연구결과”라고 설명하고 “동역학, 저차원 위상수학, 기하군론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분동형사상군 이론이 발전하기를 기대한다”고 ... ...
[주말N수학]이 시대의 진정한 박식가 데이비드 멈퍼드
수학동아
l
2020.06.20
최신
대수
학적 기술을 접목하는 성과로 주목받았죠. 또 20세기 프랑스 수학계의 자랑이자
대수
기하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알렉산더 그로텐디크의 연구를 미국 수학계에 소개해 후속 연구가 발전하도록 다리를 놓았습니다. 놀랍게도 남들은 은퇴할 나이인 60대에 돌연 연구 분야를 응용수학으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