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결함
약점
흠
부족점
잘못
허물
뉴스
"
단점
"(으)로 총 1,490건 검색되었습니다.
8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창석 교수…악천후에도 문제없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31
영상으로 구현한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컬러변조 4D 광영상 기술은 기존 라이다의
단점
이었던 광산란·광간섭으로 인한 잡음과 광진동 등이 저하된다는 점이 확인됐다. 김창석 교수는 "국내 산학 협업을 통해 독자적 원천 기술을 개발한 것이 큰 의의"라며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의 국가 경쟁력 ... ...
해수담수화로 이산화탄소 줄이고 마그네슘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버려지면서 해양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문제점도 공존한다. 이같은
단점
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폐농축수의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는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했다. 폐농축수에 가성소다를 첨가해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칼슘을 만든 뒤 이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고순도 ... ...
1시간 동안 날았다...태양광으로 비행하는 초소형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연구를 위한 지형을 관측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비행시간이 짧은 게
단점
이다. 예를 들어 무게가 10g 이하인 비행 로봇의 경우 비행 시간이 10분 미만에 그친다. 앞서 연구자들은 초소형 비행 로봇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태양광을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방안에 주목했다. 그러나 기존 ... ...
블랙홀 진화 실마리 '중간질량 블랙홀' 우리은하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이용하는 방법은 별들의 궤도를 알 수 있을 때까지 수십년간 추적 관찰해야 하는 것이
단점
이다"라면서 "중력파 관측과 함께 다양한 질량의 블랙홀을 찾으며 앞으로 우리는 블랙홀이 더 큰 질량으로 성장, 진화하는 과정을 잘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가장 오래된 '동굴 벽화' 기록 깨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기법'이 널리 사용됐다. 정확도가 떨어져 실제 연대보다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단점
이었다. 연구팀은 '레이저 제거 우라늄 시리즈 이미징(LA-U-series)'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활용했다. 질량 분석기와 결합한 레이저를 사용하면 침식 등으로 오염된 영역을 선택적으로 피해 탄산칼슘 샘플을 ... ...
더 안전하게, 광범위하게...'올인원' 유전자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자르고 교정하면 돌연변이가 생기거나 암 같은 질환이 발병할 가능성도 있다. 이 같은
단점
을 보완하기 위해 캐스9 외에 다양한 효소를 개발하거나 캐스9의 오작동을 줄이려는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다. 배 교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일단 특정 유전자를 잘라내기 때문에 위험성이 있고 도너 ... ...
녹슨 철로 그린수소 만든다…"태양광 수소전환 효율 3배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구조를 만들어 반응 면적을 넓혔다. 전자 이동 거리도 줄였다. 이를 통해 산화철의
단점
을 극복하고 물 분해 효율을 높였다. 연구팀이 만든 산화철 전극은 태양광을 이용한 수소 전환 효율을 3.2배 높였으며 100시간 동안 효율 저하 없이 지속 사용이 가능하다. 장지현 교수는 “수소 생산 효율을 ... ...
단단하면서도 길이 5배까지 늘어나는 '유리성 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콘택트렌즈처럼 액체가 포함된 폴리머인 '젤(gel)'은 신축성이 좋지만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
이 있다. 연구팀은 유리성 폴리머를 만드는 재료 물질을 액체 상태의 염(salt)인 이온성 액체(ionic liquid)와 혼합했다. 이온성 액체는 이온으로만 이뤄져 있고 물처럼 용매 역할을 할 수 있다. 혼합물을 틀에 붓고 ... ...
최강 우주발사체 스페이스X '스타십' 비행 성공은 '스뎅'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때문에 발사체 소재로 잘 쓰이지 않았다. 머스크는 고도의 기술력으로 스테인리스강의
단점
을 극복하고 발사체에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십의 성공적인 발사 직후인 6일 머스크는 X(구 트위터)에 5년 전 과학매거진 '파퓰러 매카닉스'와의 인터뷰에서 스타십 소재로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동일 면적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지만 작동 전압이 높고 속도가 느리다는 게
단점
이다. 강유전체는 외부 전기장이 없어도 전하가 한쪽으로 치우쳐 극성을 띠는 분극 상태를 스스로 유지하는 물질이다. 외부 전기장으로 분극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최근에는 하프늄(Hf)을 주성분으로 하는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