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비야"(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⑧ 소프트웨어 속 '벌레' 알려주기2019.04.23
- 버그는 예측치 못한 소프트웨어의 오동작을 의미한다. 공식적으로 보고된 최초의 컴퓨터 버그는 나방 한 마리가 컴퓨터 부품 사이에 끼여 발생했다. 일지에는 그 원인이 기록됐는데, “Bug”가 발견됐다는 말과 함께 실제 나방도 투명 테이프로 붙여 놓았다. 착실하게도 말이다. 이 일지는 현재 스미 ...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2019.04.10
- 3억5000만 년 전부터 지구의 주인공으로 살아온 곤충은 사는 곳을 까다롭게 따지지 않는 편이다. 다른 동물에서는 볼 수 없는 유일하고 특별한 기관인 날개 덕분에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천적이 많아지거나 먹이가 부족한 불리한 환경이 되면 얼음으로 뒤덮인 북극과 밀림이 우거진 아마존, 찜 ...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2019.03.20
- 지구상에서 최초로 하늘을 날았던 동물은 곤충이다. 하늘을 나는 일은 먹이를 발견하고 짝을 찾아 번식을 하고 새로운 서식처를 발견하거나 천적을 따돌리는데 더 없이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비행 능력 때문에 곤충은 3억5000만 년 전부터 지금까지 지구 생태계의 가장 번성한 생물군으로 성공 신 ...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2019.03.06
- 고사리 먹는 불나방아과 애벌레 3억5000만년 전 거대한 쇠뜨기, 석송이나 고사리로 대표되는 양치식물로 숲이 커지고 울창해졌다. 그러나 식물이 죽은 후에 이들을 소화하고 분해시킬 분해자가 없다보니 식물이 그대로 쌓여 현세의 인간들에게 천연가스, 석유나 석탄 같은 풍부한 지하자원을 남겨 ... ...
- 애기똥풀-바람꽃...한글 이름에 담긴 ‘항일정신’ 아시나요 과학동아 l2019.03.01
- 석주명이 1939년 발간한 ‘조선산 접류 총목록’ 속 컬러 나비 사진. 이 책은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가 영문으로 집필한 유일한 책이다. 사진 제공 국회도서관 금낭화, 애기똥풀, 바람꽃…. 정겹고 예쁜 우리말 식물 이름이 탄압이 극심했던 일제강점기에 태어났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 ... ...
- [3·1운동 100주년]"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02.28
- 올해 1월 개봉한 영화 ‘말모이’는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목숨 걸고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인 조선어학회의 이야기를 담아 285만 관객을 동원하며 잔잔한 감동을 남겼다. 영화에는 등장하지 않았지만, 당시 과학계에도 이들 못지않게 우리말과 우리 이름을 지키기 위해 치열하게 싸웠던 이들이 ... ...
- [애니멀리포트] 동물 축제, 이대로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02.17
- 1995년부터 시작된 ‘울산고래축제’는 지금까지 매해 여름에 열리며, 울산의 포경 역사와 고래의 이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Len2040(F)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면 산천어 축제를 비롯해 송어 축제, 빙어 축제 등 겨울에만 즐길 수 있는 행사가 전국 곳곳에서 열립니다. 동물 축제의 인기가 높아질 ...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겨울나기…숨을 죽이다 2019.02.06
- 인간을 포함한 척추동물과 곤충은 발생, 성장 등 생리적으로 많이 다르지만 가장 확실한 차이점은 산소를 세포 안으로 들이고 이산화탄소를 세포 밖으로 내보내는, 호흡 방법일 것이다. 숨 쉬는 일을 통해 살아있는 세포에게 산소를 공급하여 영양소를 만들고 대사 물질인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은 ... ...
- [이강운의 곤충記]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곤충은 하등한 생물일까? 2019.01.23
- 외부 환경이 바뀌면 생물들은 적응해야 살 수 있다. 여러 가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몸의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면 생명체는 병이 생기거나 죽게 된다. 스스로 알아서 외부환경에 적응하여 생리적으로 균형을 맞추는 메커니즘을 항상성(恒常性)이라 하는데 체온 조절이 좋은 예다. 따뜻한 ... ...
- [이강운의 곤충記] 감추어진 애벌레, 뚜껑을 열다2019.01.09
- 물도 얼고, 땅도 얼고. 모든 게 꽁꽁 얼어붙은 혹독한 추위의 겨울에 곤충들은 특별히 할 일이 없다. 한 자리에서 십 수 년을 지내 온 큰 나무야 오랜 경험과 단련으로 거뜬하겠지만 길어야 1년, 짧으면 30일도 안 되는 수명을 가진 북반구 대부분의 곤충들은 사계절을 모른다. 올해 처음 겨울을 맞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