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3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루 7000걸음이면 충분…더 걸어도 추가 효과 미미"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차이가 거의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멜로디 딩 호주 시드니대 공중보건학부
교수
연구팀은 하루 7000걸음만 걸어도 건강상 주요 이점을 대부분 확보할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23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랜싯 공중보건 저널(The Lancet Public Health)'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14년부터 ... ...
'AI 눈·레이저 자'로 도심 가로수 탄소 흡수량 파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리모트 센싱 오브 인바이러먼트(Remote Sensing of Environment)에 게재됐다. 연구를 이끈 류
교수
는 “도시 가로수의 탄소 저장량을 이렇게 대규모로 지도화한 것은 이례적이다”며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기술로 도시 환경 문제를 풀어갈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 ...
나이 들수록 빠지는 근육 되살리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다런 윌리엄스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노화에 따른 근감소증의 주요 유발 요인으로 단백질 'DUSP22'의 과활성화를 지목하고, 이를 억제하면 근육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5월 국제학술지 '엠보 분자의학(EMBO Molecular Medicine) ... ...
'노래하는 새' 명금류, 미적 감각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선명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잘린 프라이스월드먼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팀은 명금류가 새의 깃털 색채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일종의 '시각적 트릭'을 사용한다는 연구결과를 2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예술 작품에서 배경색을 이용해 주된 ... ...
비흡연 여성 폐암 환자 수술 비중 크게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박성용 폐식도외과
교수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23년 사이 실시된 폐암 수술 12만건을 분석해 고령, 여성환자가 증가하고 최소 침습 수술이 보편화됐다는 연구 결과를 '대한암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청구 ... ...
반려견 사진 찍어 VR·AR에 '쏙'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반려견을 디지털 공간에서 구현하고, 직접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도구"라고 말했다. 주
교수
는 "생성형 AI와 3D 복원 기술을 결합해 실제와 유사한 반려동물 모델을 구현한 의미 있는 성과"라며 "앞으로 다양한 동물이나 개인 맞춤형 아바타로의 확장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 doi.org/10.1007/s112 ... ...
좁은 틈도 문제없다…근육 닮은 초슬림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여기에 연구팀은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도 함께 개발했다. 김기훈
교수
는 “얇고 부드러운 구조 안에 복잡한 3차원 공기 압력 네트워크를 담아내고 생체 모사 방식으로 여러 방향의 동작을 구현했다”고 말했다. - doi.org/10.1038/s41467-025-60496- ... ...
의대생 복귀방안 발표, 갑작스레 연기…교육부 "대학 협의 더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졸업 시점을 2027년 8월로 미루는 연기안이다. 하지만 대학마다 임상실습 병원 여건이나
교수
인력 확보 상황이 달라 두 안 모두 일괄 적용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특히 1년 6개월 안에 의사 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부담과 대학별로 실습 커리큘럼을 압축할 수 ... ...
술에 약물 타는 '퐁당 마약' 범죄 '꼼짝마'…1초 이내 감지하는 문신 스티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기술이 개발됐다. 고경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권오석 성균관대
교수
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술에 섞인 마취 약물 GHB(y-하이드록시부티르산)를 1초 이내에 감지할 수 있는 문신 스티커를 개발하고 23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ACS센서스(ACS Seonsors)'에 공개했다. GHB는 ... ...
[과기원NOW] 폐수에서 '그린 암모니아' 뽑아내는 태양광 시스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바꾸는 반응, 그리고 이산화탄소를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기술 등에 적용해 왔다. 홍
교수
는 "한국 제올라이트 연구의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매우 뜻깊다"고 말했다. 이번 수상은 지난 17일 중국 대련에서 열린 제21차 국제 제올라이트 학술대회(IZC) 현장에서 공식 발표됐다.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