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절
부인
사절
낙방
낙선
부결
퇴사
뉴스
"
거부
"(으)로 총 1,18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 출신 황정아 의원, '국가 예산 5% 이상 R&D 투입' 22대 국회 1호 법안 제출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대통령은 R&D 예산 삭감에 대한 사과는커녕 민주당이 제안한 ‘R&D 추경’마저 단칼에
거부
했다”며 “국회 입법을 통해 잘못된 것을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 ...
의료계 "의대 증원 확정은 오보…천막서 수업할 판"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22일 서울의 한 의대 강의실이 학생들의 수업
거부
로 의사 가운만 덩그러니 놓여있다. 연합뉴스 제공. 의대 교수들이 의대 증원 확정 보도를 '오보'라고 지적했다. 의대 정원이 늘어나면 학생들이 천막에서 수업을 받고 그룹수업이나 실기시험은 폐지될 것이란 우려도 표했다. ... ...
의료계, '생활고' 전공의 1646명 지원...소모적 의정 대립 지속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전국 의대 교수들은 거수기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단호히
거부
하기로 했다”며 “의료 및 의학교육 정책에 대한 불참 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병원 근무는 전공의 없이도 유지 가능하도록 업무 시간 조정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교수들의 피로도가 누적되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 돌아올 수 없는 다리 건너나
2024.05.22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병원을 떠나버린 전공의와 수업을 포기한 의대생들이 복귀를
거부
하고 있는 상황은 매우 심각하다. 당장 의대 교육이 무너지고 있다. 듣도 보도 못한 '학년제'가 무너지는 의대 교육을 지켜줄 것이라는 교육부의 기대는 어설픈 것이다. 의예과 학생들이 교양 과목을 이수하는 ... ...
병원 복귀 전공의 30명 남짓…의협 "박민수 차관 처벌해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합당한 처벌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전공의 병원 이탈과 함께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
또한 지속되고 있다. 이날 교육부는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에 대화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20일 기준 전국 40개 의대 중 수업을 재개한 의대는 37곳이지만 학생 수업 참여도는 매우 낮은 상태다. ... ...
전공의 복귀 마지노선 20일, 이렇다할 복귀 움직임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통해 “2025학년도 1500여명 증원이 포함된 정원이 확정됐다고 봐야 할 것”이라며 "수업
거부
로 증원 정책을 철회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오는 24일 대입전형위원회를 열고 의대 증원분이 반영된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심사한다. 심사 ... ...
돼지 장기 이식받은 환자 생존기간 더 늘릴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19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 공개했다. 연구팀은 이종 이식 시
거부
반응을 예측하고 맞춤형 면역억제제를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 ...
의대생 집단유급 코앞…대학, 의대증원 학칙 개정 마무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5.19
가처분 신청에 각하 결정을 내렸다. 연합뉴스 제공.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수업을
거부
하고 있는 의대생들이 법원 결정 이후에도 복귀하지 않아 이들의 집단유급 방지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국 대학들은 의대 증원을 반영한 학칙 개정을 이른 시일 내에 마무리할 ... ...
美 돼지신장 이식 환자 2개월만 사망…이종이식 넘어야 할 산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생명과학 연례검토'에서 리뷰 논문을 통해 "지난 몇 년 동안 이종 이식연구는 혈액 응고
거부
반응 증상을 극복하는 등 눈부신 발전을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향후 과제 중 하나로는 장기를 제공할 돼지를 미생물과 바이러스가 없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술의 발전을 꼽았다 ... ...
의료계 '의대 증원' 과학적 검증 나선다…정부 "고소·고발 난무 유감"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전의교협은 “정부로부터의 각종 불이익이 예상되는 상황 속에서도 불합리한 정책을
거부
한 부산대 결정을 환영한다”며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하며 일방적이고 강압적으로 진행하는 정책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고 밝혔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