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일
기와
블럭
어린이과학동아
"
벽돌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벽돌
사이에 핀 민들레꽃~~^^ 생명력이 참 강한꽃이랍니다~~**
탐사기록
l
20140407
벽돌
사이에 핀 민들레꽃~~^^ 생명력이 참 강한꽃이랍니다~~** ...
제가 점심시간에 운동장에 나가보면 모래 3총사가 매일 커다란 모래성을 쌓고 놀고 있어요.
포스팅
l
20140318
제가 점심시간에 운동장에 나가보면 모래 3총사가 매일 커다란 모래성을 쌓고 놀고 있어요. ^^제 동생과 친구들...안에
벽돌
을 잔뜩 넣어서 무너뜨리면 손과 발이 아퍼서 못 무너뜨린다고....ㅎㅎㅎ ...
뿌리와 새싹을 아시나요? 제인 구달 박사님 재단을 소개합니다
기사
l
20140307
있습니다. 우리 지구가 당면한 문제들을
벽돌
이라고 생각해 봅시다. 수백, 수천의 뿌리와 새싹들, 전세계 수백, 수천의 젊은이들은 이
벽돌
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 당신은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제인 구달 -강연회에서 본 박사님은 너무 늙고 마르셨습니다. 그러나 무려 1시간 이상 바른 자세로 움직이지 않고 강연을 하셨고 최재천 ...
으악! 벽에서 물고기가 튀어나왔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12
거예요. 실험에 따르면 이 상태로 몇 년을 견디기도 한다고 해요. 아마 집을 지을 때 쓴 진흙
벽돌
속에 폐어가 들어 있다가 비가 와서
벽돌
이 젖자 깨어나서 밖으로 나온 걸 거예요.” “역시 내 말이 맞지?” 신나서 소리치는 우겨 군. 이 때 냥냥이 동물 흔적 추적기를 가져온다. 추적기가 이끄는 대로 따라가다 보니 우기를 맞아 물이 ...
극비공개 월-E 가 밝히는 지구의 미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31
처리기에 넣으면 막대기 모양의 연료로 바뀌는데, 이 쓰레기 연료는 석탄처럼 사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쓰레기를 태운 재를
벽돌
이나 도로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또한 버려진 휴대 전화나 컴퓨터에서 금, 은, 구리를 빼내는 등 전자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이 쓰레기가 늘어나는 속도 ...
100년의역사가 흐르는 수도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12
물 폭탄을 만들어 장난을 치기도 했는데 좀 부끄럽더라고. 앞으로 물을 아껴 쓰는 생활습관을 익혀야겠다고 다짐했어. 화장실 변기에
벽돌
을 하나 넣어 두거나 샤워 시간을 조금만 줄여도 물 사용량을 20~60%나 줄일 수 있다고 해. 나도 집에 가면 당장 실천해야겠어! [소제시작] 100년 전 정수장을 만나 봐 [소제끝] 물과 환경 전시관을 나와 보 ...
블록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30
MIT) 생물공학부 드류 앤디 교수는 DNA
벽돌
(바이오브릭)을 만들었어. DNA
벽돌
은 양 끝에 연결 부위가 달린 DNA 조각이야. DNA
벽돌
을 레고 블록처럼 조립해 우리가 필요한 기능을 하게 만들 수 있단다. DNA도 쉽게 조립하는 세상. 정말 신기할 뿐이야. {BIMG_l12}내 맘대로 전자제품! 전자제품도 레고 블록 ...
수컷이 암컷이 되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514
정말 놀랍군요.” “온도뿐만 아니라 위치에 따라 성별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답니다.” 실제로 ‘크레피둘라’라는 달팽이는
벽돌
처럼 쌓여 있는데, 암컷 위에 있으면 수컷이 되지만 따로 떨어져 있으면 암컷이 된다. 또 수컷이 너무 많으면 수컷이 암컷으로 변하기도 한다. [소제시작]사건 해결 - 온도, 그것이 문제로다[소제끝] “하지만 이 지역은 평균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28
더 확대하자맨눈으로는 보이지 않던 매우 작고 미세한 세계가 펼쳐졌다. 복숭아빛의 불그레한 덩어리,바로 뺨을 이루는 세포다. 작은
벽돌
이 모여 집을 이루듯 생물은 세포로 만들어진다. 세포는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가장 작은 단위다. 세포의 크기는 매우 작기때문에 현미경을 사용해야볼수있다. 세포가모이면 근육과 신경을 만들고 심장이나 허파 등 신체 기관 ...
석빙고 없이 여름을 어떻게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3
살고 있었을까요? 정답은 실내 온도를 차갑게 유지할 수 있는 석빙고의 구조였습니다. 석빙고의 천장은 아치형으로 만들어져
벽돌
들이 만나는 지점에는 움푹 들어간 빈 공간들이 있었습니다. 그 공간과 위쪽에 설치된 환기구를 통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었던 것이지요. 차가운 공기는 밑으로 가라앉고 더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을 현명하게 ...
이전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