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농업"(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들이 잘 모르는 기념일들에 대하여기사 l20170709
- 농업인의 날이 더 종요하고 더 기억하려고 노력 중입니다. 여러분도 11월 11일엔 빼빼로 생각보단 우리를 위해 농사를 지으시는 농업인에 대한 생각을 더 많이 해주세요! 이밖에도 여러분이 잊고 계시는 기념일이 여러 가지이지만 이들 중 몇 가지만 소개해 보았고요, 여러분들도 잊고 계셨던 기념일에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랄게요 ... ...
- 상업적 기념일은 우리가 기념할만한 가치가 있는가?기사 l20170615
- 빼빼로데이 때문에 사람들이 농업인의 날을 잊게 되었습니다. 농업인의 날은 우리 식탁에 건강한 식품을 올릴 수 있도록 해주신 농업인 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는 날인데, 빼빼로데이에 묻혀 잊혀지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불필요한 소비도 늘리고, 감사한 기념일도 묻히게 만드는 상업적 기념일은 사라지고, 감사해야하는 기념일 ...
- 충남 서산 논에서 청개구리 울음소리가 들려오네요.탐사기록 l20170427
- 논에 서서히 물을 대는 인간의 농업활동...이.. 올해 청개구리의 산란에 큰 영향을 줄 것 같아요... 어느 해보다도 가문 봄이었기에... 사람이 논에 물을 대주어야.... 산란하는 녀석들이 많을 것 같아요.. 충남 서산.... 죽성동에서.. 멀리 논에서 청개구리 울음소리가 들려옵니다. ...
- 11월 11일 농업인의 날에 대하여 알아보자기사 l20161111
- 고려되었다고 합니다. 혹시 여러분도 빼빼로데이라는 상업적 기념일에 묻힌 농업인의 날을 모르고 계셨나요? 이제부터는 11월 11일에 농업인분들께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달콤한 막대 과자보다 국산 농산물을 더 애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임소정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네이버 블로그: 완주로컬푸드 참고) (이미지 출처: 첫번째=저 ...
- [서울 용산, 내친구봄이] 꿀벌 160920- 2탐사기록 l20160920
- 서울 은평구 도시농업체험장1340고마리, 꿀벌 ...
- 추석에 제사를 지내는 것, 우리가 지켜야 할 전통일까요? 아니면 시대에 맞는 문화로 바뀌어야 할까요?토론 l20160912
- 큰 명절이랍니다. 찬성: 추석에 산소를 가고, 조상님께 제사를 지내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전통 문화로 꼭 지켜내야 해요! 반대: 농업 시대는 지났으니, 추석도 요즘에 맞는 새로운 휴일 문화로 바뀌어야 해요! 기자단 친구들의 의견은 어떠한가요? 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p.s. 토론주제 신청도 열심히 해주세요. 시끌벅적 토론터 페 ...
- 573년 만에 다시 움직인 조선의 표준시계 자격루기사 l20160706
- 있고 밤에는 사용 할 수 없어서 물시계가 표준이 되었고, 물시계와 자동 시보 장치를 연결하여 만든 '자격루'가 탄생하게 된거지요. 농업사회에선 시간(농사 시기 포함)은 생존과 연결되는 매우 중요한 것이었기에 자격루의 발명은 아주 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답니다. 그럼 자격루는 어떤 원리로 스스로 시각을 알려 줄 수 있었을까 궁금하시죠? 그 ...
- 장마중에 최고의 과학자 장영실을 만나다포스팅 l20160701
- 고려때 귀하한 송나라 대장군 장서의 후손입니다. 장영실은 문종때 자격루와 각종 천문기기, 금속 활자인 갑인자, 측우기와 수표등 농업 기상학 분야와 세종때는 여러천문관측기기를 제작하여 백성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기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오늘 취재차 온 이곳 장영실 과학동산에서는 우리 부산 출신의 조선시대 최대 과학자인 장영실을 기념하고 전통과학을 체 ...
- 지사탐 현장취재 1, 2어린이과학동아 l20160630
- 안녕! 난 전북 완주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 사는 ‘꿀벌 마야’야. 지난 달 5월 28일, 꽃과 벌집 사이를 열심히 날아다니며 꿀을 따고 있는데 낯선 30명의 사람들이 몰려들었어. 전국각지에서 모여든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이라지 뭐야? 이 사람들은 도대체 뭐 하러 여기까지 온 걸까?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3호(2016년07월 01일 ...
- '곤충 고소애는 고소해' 전시에서 맛본 바삭바삭한 밀웜!기사 l20160628
- 근거가 있어야만 가능해 식품공전에 등록된 식용곤충은 메뚜기, 누에(번데기, 백강잠) 두 가지뿐이었다. 그러나 2011년부터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식품화 연구를 수행해 갈색거저리 유충(애벌레),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장수풍뎅이, 귀뚜라미등의 등록을 추진했다. 야외에서 채집한 곤충은 그 곤충이 먹은 물질이나 서식 환경에 대한 파악이 쉽지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