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가려고 하는 것에 대비해선 여러 센서를 달아놨습니다. 도난을 당하더라도 위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는 게 회사의 설명입니다. 집 앞까지 배달 완수하려면관건은 엘리베이터 모든 항목을 무사히 통과한 실외 이동로봇의 최종 꿈은 ‘라스트 마일’입니다. 쉽게 말해 고객이 원하는 물품을 집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기사 초고에서 두 연구 그룹을 독자적으로 연구하면서도 때때로 서로의 연구 성과를 확인하는 등 공통된 문제를 두고 씨름한 협력 관계로 그려냈다. 다만 기사는 프랭클린이 원고의 과학적 내용을 올바르게 수정하는 데 많은 품이 들 것이라고 지적해서인지, 출간되지 못했다. 이처럼 왓슨과 크릭은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AI 수학 도우미는 굿노트에 작성한 수식을 인식하고, 그 식에 틀린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AI 모형이에요. 먼저 사용자가 수식을 쓰면 숫자와 기호를 인식해요. 사용자가 수식을 여러 줄에 걸쳐서 전개했을 때 각 줄을 따로따로 인식해 저장한 다음 첫 번째 줄과 두 번째 줄을 비교해 두 식의 답이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예보관이 보는 자료(종합기상정보시스템)는 페이지(URL)가 1만 5000개에 달해요. 자료 확인 시간을 단축해 예보관의 업무 효율을 높여주는 겁니다. Q. 신속, 정확한 예보가 중요한 이유는 뭘까요? 똑같이 비 10mm가 와도 어떤 곳은 순식간에 도로가 유실, 침수돼요. 저희는 국토교통부,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로블록스만의 다양한 매력이 있는데요. 로블록스에 어떤 재미 요소가 있는지 자세히 확인해 볼까요? 이번 시간에는 로블록스가 어떤 플랫폼인지 함께 알아봤어요. 로블록스에 흥미가 생기셨나요? 다음 시간에는 로블록스를 제대로 즐길 수 있는 더 알찬 이야기로 돌아오겠습니다 ... ...
- 이제는 인공지능도 만화가!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어느새 마나는 다시 자신의 책상 앞에 앉아 있었어요. 투니가 말했지요. “마나야, 이제 직접 만화를 그릴 수 있겠지? 인공지능(AI) 친구와 함께라면 더 쉬울 거야!” 최근에 ... 아직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주는 정보나 인공지능이 완성한 그림은 한 번 더 확인해야 한답니다 ... ...
- [출동! 어린이 기자단] '신비아파트 제작 스튜디오에 가다' 신비한 애니메이션 속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PD는 신비아파트의 줄거리와 캐릭터를 정하는 일부터 애니메이션 방송 전에 마지막으로 확인하는 일까지 맡고 있지요. 스튜디오 곳곳에는 신비아파트 포스터와 인형이 가득했어요. 사람들은 저마다 컴퓨터로 애니메이션을 편집하고 있었어요. 신비아파트의 한 장면을 뚝딱 잘랐다 붙이기도 ... ...
- [과학뉴스] 복잡한 로봇 손 ‘한 번에’ 인쇄하는 3D 프린팅 기술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결합해 티올렌이 한 층씩 인쇄될 때마다 표면의 요철을 확인하도록 한 것이다. 요철을 확인한 후 다음 층을 인쇄할 때 이전 층 인쇄에서 생긴 요철을 상쇄하도록 분사량 등을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방식을 이용해 로봇 손 외에도, 심장, 보행로봇 등을 제작할 수 있었다. 카츠슈만 ...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바 있지만, 그 이후에도 주로 보고된 것은 빈대종이었습니다. 반날개빈대는 공식적으로 확인된 것이 2021년 12월 경기도 오산에서 채집된 기록입니다. 무려 90년 만이었습니다. 반면 2023년 발견되는 빈대들은 대부분 반날개빈대입니다. 반날개빈대와 빈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 교수는 ...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있다”면서 “체액에서 추출된 DNA를 분석해 체액의 종류와 체액의 주인이 누구인지 신원확인을 한 번에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체액 식별을 위해 기존에 활용하던 방식의 경우, 시료량이 많이 요구됐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환경 미생물 DNA 분석기술을 적용하면 극소량의 증거물로도 원하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