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합의"(으)로 총 45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불임성 일꾼이 자주 등장한 현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고 오늘날 학계에서 폭넓게 합의가 이뤄져 있다.단수이배성 가설은 포괄 적합도 이론이 아니다해밀턴의 규칙인 rb>c를 상기해보자. 상대방이 얻은 이득(b)에 유전적 근연도를 곱한 값(r)이 이타적 행위자가 입는 손실(c)보다 커야 이타적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켜보기만 했다. 남자와 나는 끝끝내 책 제목을 누가 최종적으로 승인할지에 대해서 합의하지 못했다.남자는 K 의원의 책이니 당연히 K 의원이 정하는 게 옳다고 주장했고, 나는 ‘K와 장강명의 세상을 바꾸는 아름다운 논쟁’ 따위의 제목이 붙는 꼴을 보느니 다 없던 일로 하는 게 낫다고 반박했다.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노벨상 수상자 111명과 과학자와 일반 시민 5769명이(8월 17일 기준) 환경 운동단체에게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반대하는 활동을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 방법을 택한 것은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이성적으로 접근해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문제, 데이터를 공유하는 문제 등 8개 문제에 대해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논의하고 있다. (합의가 잘 이뤄질 것이라고 보는가?) 극지를 접근할 때 정치적인 관점보다 과학적인 관점으로 먼저 접근하는 것이 결과가 더 좋다고 생각한다.Q 극지 연구에서 옵저버인 한국이 할 수 있는 일은?E 많은 나라들이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평범한 돼지들이 변하기 시작했다. 어떤 돼지는 헬스트레이너 못지 않은 근육을 자랑하는 ‘근육돼지’가 됐고, 어떤 돼지는 인간의 장기를 갖는 ‘키메라돼지 ... 발표했다. 박정규 교수 역시 “기초연구가 좀 더 진행되고,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천 년간 인류는 가시광선이라는 작은 창으로 우주를 탐구해왔다. 창문을 조금씩 넓히기 시작한 건 20세기 들어서다. 전파를 천문학에 이용하면서 우주배경복사를 보게 ... 불평이 나올 수도 있고요. 미래의 일이지만, 이제 중력파 연구자와 천문학자들 사이에 합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문제보다 시급한 건 이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지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일이다. 가장 현실적으로 다가온 문제는 역시 일자리 문제다. 미국 펜실베니아대사회학자 랜들 콜린스 교수는 “프랑켄슈타인 같은 로봇들이 일으킬 반란이 아니라, 로봇을 소유한 극소수 자본가 계급을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COP17에서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까지 참여하는 신기후체제를 올해까지 만들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정태용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교토의정서와 달리, 전 세계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의 45%를 배출하는 미국과 중국이 참여하고, 155개 나라가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안을 만들어 ... ...
- [Knowledge]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무리의 의사 결정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이들이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은 복잡한 집단의 형성과정을 알기 위해 꼭 연구해야 한다.페린 박사팀은 케냐 음팔라연구소에 있는 개코원숭이 25마리에 매초 위치를 기록하는 목걸이 형태의 위치추적기를 부착했다. 각 개체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집합에 추상적으로 ‘크기’를 부여하는 함수다. 예를 들어, 유리수와 무리수들의 집합의 ‘길이’를 측도로 정의할 수 있다. 르베그는 측도로부터 적분을 새롭게 정의했다. 리만이 함수 그래프를 세로로 쪼갠 것과 달리 가로 방향으로 쪼갰다. 그리고 특정 함수 값에 해당하는 정의역 구간의 길이,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