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흙
토양미생물
미생물
토양오염
오염
토지
대지
d라이브러리
"
토양
"(으)로 총 941건 검색되었습니다.
USA┃Mars 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방법을 써야 한다. 특히 퍼시비어런스는 화성에서 고대 생명체의 자취가 남아있을 법한
토양
을 발견하면 이를 채취해 시료 보관함 ‘캐시(Cache)’에 담아 보관해야 하는 중대한 임무를 맡았다. 안타깝지만 아직 현재 과학기술로는 로버가 지구로 보낸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생명체의 존재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수 있는 종이 아니어서 항생제 후보물질을 찾는 데 한계가 있었어요.교수팀은 이들 99%
토양
세균이 만드는 물질을 이용하기 위해 ‘아이칩’이라는 특수 장치로 세균을 키웠어요. 이렇게 얻은 항생 물질을 총 1만여 종의 세균에 각각 실험해 어느 병원 세균에게도 내성을 일으키지 않은 테익소박틴을 ... ...
한국 화성 탐사 계획은? 화성에 가져갈 ‘잇’템 7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2020에 실린 산소-이산화탄소 변환 장치(MOXIE)도 ISRU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외에도 화성의
토양
에서 물을 추출하는 기술 등이 필요하겠죠.4. 과학동아이유 : 막상 화성에 갔는데 심심할까봐전인수 : 좋은 생각! 화성까지 가는 시간을 포함해 화성에 도착한 뒤에도 남는 시간이 많을 겁니다. 사람이 ... ...
CHINA┃‘우주의 질문’에 답하러 간다.. 창정 5호에 실은 첫 성공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가지고 오는 임무를 진행한다. 창어 5호는 달의 북서쪽 륌케르 산에 착륙해 2kg 이상의 달
토양
과 암석 샘플을 수집한 뒤 이들과 함께 지구로 돌아올 예정이다. 무인 탐사선이 달 샘플을 가지고 지구로 돌아오는 임무는 1976년 옛 소련의 ‘루나(Luna)’ 24호 이후 처음이다.중국은 2022년까지 독자적으로 ... ...
to MARS # 생명체의 흔적을 찾아서 우리가 화성에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닿아 산화되면 붉은색으로 녹이 스는 것처럼 화성 표면에는 산화철 성분이 있어서
토양
이 붉은색을 띤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불을 뜻하는 화(火)를 붙여 화성이라고 부르고, 영어로는 로마 신화 속 전쟁의 신 ‘아레스(Ares)’의 로마식 표기인 ‘마스(Mars)’라고 부른다. 전쟁이 빨간색의 불과 피를 ... ...
[인포그래픽] Mars 2020 퍼시비어런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7월 30일 ‘마스(Mars) 2020’을 통해 화성에 로버를 보낸다. ‘인내(perseverance)’라는 뜻을 가진 로버 ‘퍼시비어런스’는 화성에서 생명 ... 장애물 회피를 위해서는 7대의 카메라가 별도로 사용된다. 총 7대의 과학 장비가 탑재돼 있어 화성의
토양
과 대기를 분석한다 ... ...
EU┃ Exo Mars 2년 뒤 떠나는 엑소마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시작된다. 특히 로잘린드 프랭클린은 코어 드릴로 2m 깊이까지 파고 들어가 화성
토양
샘플을 채취할 계획이다. 얀 뵈르너 ESA 국장은 “우리는 100% 성공할 수 있는 임무를 수행하려고 한다”며 “더 많은 검증을 통해 화성에 무사히 탐사선을 보내고 최선의 과학적 결과물을 도출할 것”이라고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물, 공기가 가지는 압력인 ‘공극압’에 집중했다. 그 결과 강수량이 증가하면서
토양
의 빈 공간에는 물이 가득 채워지게 되고, 이는 공극압의 증가로 이어져 지반을 약화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공급압은 최대 땅 밑 3km까지 영향을 끼쳤다.실제 2018년 하와이의 칼라우에아 화산의 데이터를 분석한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밝힌 바 있다.우주에 바이러스가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 혹시나 화성에서 한 움큼 가져온
토양
에서 새로운 종류의 바이러스가 발견되기라도 한다면 지금까지 알려진 생명의 기원 이론이 통째로 바뀔지도 모른다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22019년 안 교수팀은 29~676μm 크기의 폴리스티렌과 폴리에틸렌류 미세플라스틱이 존재하는
토양
에서는 곰팡이를 분해하는 이로운 벌레인 톡토기(L.sokamensis·springtail)의 움직임이 23~25% 더뎌진다는 연구 결과도 국제학술지 ‘국제 환경’ 온라인판에 발표 했습니다. doi: 10.1016/j.envint.2019.02.0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