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헤일메리 과학굿즈 작가 “우주와 인간 문명이 만나 우연히 만들어지는 로맨틱한 이야기를 좋아해요”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기자가 제게 상온 상압 초전도체 이슈에 관해 묻는 이게 현실인가 싶다”면서 “2022년
태양
계 행성이 정렬될 때 한참 천문학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걸 보고 저도 ‘아니 세상 사람들이 이렇게 우주에 관심이 많았다고?’라는 생각을 했다”고 했습니다. ------------------------------------헤일메리: 헉, 근데 ...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대책이 없다는 점에서 막히고 있다. 대신 지구-
태양
라그랑주 지점에 초대형 막을 펼쳐
태양
에너지를 줄이자는 아이디어는 필요할 때 막을 치워버릴 수도 있어 유용한 방안으로 뜨고 있다. 물론 비용 문제로 언제 실현될진 모르지만 말이다. 필요할 때 켰다 껐다 할 수 있는 보다 실용적인 지구 냉각 ... ...
[특집]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관측 1년, 우리가 알던 하늘을 바꾸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Part2. 외계행성의 숨결을 맡다Part3. 적외선의 눈으로
태양
계를 보다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Outro. 왜 우리는 제임스 웹의 이미지에 ... ...
Part3. 적외선의 눈으로
태양
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무겁다는 점이다. 기껏해야 빅뱅 이후 3~4억 년 밖에 되지 않은 초기 은하들인데, 이미
태양
질량의 100억~1000억 배에 달하는 육중한 질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 거대 은하는 오늘날 우주론 모형인 ‘람다CDM(ΛCDM)’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은하가 우주론 모형이 예측하는 것보다 지나치게 ... ...
[정대호의 ‘2039: 화성 일 년 살기’] 케일이 가르쳐준 ‘관심’의 중요성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만족스러워했다. 케일에는 눈 건강에 도움이 되는 루테인이 많이 들어있다. 지구보다
태양
빛이 어두운 화성에서 대원들의 식사로 적절한 선택이었다. 샐러드를 만들고 남은 케일 잎은 잘게 갈아 녹즙으로 만들었다. 케일은 배추과에 속하는 채소들 중에서도 항산화 기능이 가장 뛰어나다. 배추과 ... ...
[5년 후, 과학은] 충전・교체 필요 없는 몸속 배터리 마찰전기 나노발전기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저장할 장치도 개발돼야합니다. 마지막 문턱은 출력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입니다.
태양
전지는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 같은 기관들이 출력을 인증하는 반면,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는 이런 기관이 부재한 상황입니다. 현대 문명의 발전은 소재와 에너지 기술의 첨단화를 중심으로 ... ...
맥동하는 별로 밝혀낸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배경의 결정적 증거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파장은 대략 10년을 주기로 한번 진동한다. 이러한 진동수의 중력파가 발생하기 위해선
태양
질량의 1억 배가 되는 밀집쌍성이 필요하다. 이것의 가장 유력한 후보는 은하 중심부에 위치한 초대질량 블랙홀이다. 각 은하 중심부의 초대질량 블랙홀이 나선을 그리다 합쳐지는 단계가 되면 나노헤르츠 ... ...
[과학뉴스] 금성 대기 미스터리 풀 국제 연구 한국이 주도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탐사선 ‘아카츠키’가 관측을 수행한다. 두 탐사선은 자외선 영역에서 금성에 반사되는
태양
빛을 관측할 계획이다. 관측은 수성으로 운항 중인 베피콜롬보가 금성을 바라보는 9월 말에 진행된다. 지구에서는 지상 망원경을 이용해 금성을 관측한다. 지상 망원경은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을 ... ...
"적어도 과학책은 문장 때문에 고민하지 않도록"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박 박사는 ‘면적 속도 일정의 법칙’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행성이
태양
을 공전할 때,
태양
과 행성 사이를 이은 선분이 같은 시간동안 쓸고 지나간 부채꼴의 넓이가 항상 똑같다는 법칙이다. ‘케플러의 제2법칙’이라고도 불리는 이 법칙은 요하네스 케플러가 스승인 티코 브라헤의 자료를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