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기원
원천
유래
발단
원인
발생
d라이브러리
"
출처
"(으)로 총 2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천연 글루타민산과 인공 글루타민산이 다르다고 주장하지만, 우리 몸이 똑같은 물질을
출처
에 따라 구분한다는 과학적인 증거는 없다.MSG가 해롭다는 증거 없어신경계에 영향을 끼치고 비만과 당뇨를 유발한다는 주장은 어떨까. 권훈정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교수에게 MSG가 몸에서 어떤 작용을 ... ...
오늘의 날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과동이: 지난 여름 태풍이 지나가는 걸 보니 예보를 잘 보고 대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런데 태풍이 우리나라에 오기 전에 아예 없애버릴 수는 없을까요?쌤: 과동이 말처럼 태풍을 없애려는 연구도 있었어요. 몇가지 방법이 있는데, 60~70년대에는 태풍 위에 ‘구름씨(빙정핵)’를 뿌리는 ... ...
PART 1. CERN에 가다 “21세기 물리학 최대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로시 교수는 “선입견을 배제하기 위해 두 개의 검출기인 CMS와 ATLAS에서 나온 자료를
출처
를 밝히지 않은 채 세 개의 팀으로 나눠서 따로 분석했다”며 “발표 하루 전날에야 두 검출기의 결과가 모두 5시그마를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5시그마는 99.999943% 정확함을 뜻한다 ... ...
뇌에 상처를 주는 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자가진단테스트를 통해 확인한 다음, 욕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함께 고민해 봐요※
출처
: 한양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친구의 말 한마디, 욕설 줄이는 일등공신!테스트에서 심각한 욕쟁이로 나왔다고 너무 걱정하진 말아요. 지금부터 우리 뇌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해도 늦지 않았어요. 무슨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바이러스는 변이가 심한 것으로 유명할 뿐더러, 1977년에 유행한 러시아독감 바이러스가
출처
가 불분명한 채로 홀연히 등장했기 때문이다. 중국과 러시아 정부는 이 의혹에 대해 공식적으로 부인한 상태다.변종 바이러스가 있는 두 연구자 실험실 보안수준은 최고등급에서 ‘반 계단’ 부족한 ... ...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가 왔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 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말한다(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남녀노소 누구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추세다. 그런데 우리는 왜 이토록 스마트폰에 주목을 하고 있는 것일까. 스마트폰은 컴퓨터 못지 않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우리는 이러한 ... ...
발견! 기상천외한 신종 생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최근 미국 아리조나주립대학교 국제 종 탐사기구(IISE)는 ‘2010년 10대 신종 생물’을 선정해 과학잡지 네이처에 발표했어요. 여기에는 메뚜기 뒷다리를 가진 바퀴 ... 콧속 점막에서 발견된 거머리(➎)도 있다니, 발견된 장소까지도 기상천외하네요. 사진
출처
: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pecies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입력해야 하는 서비스에서는 주소를 링크할 때 단축 URL을 자주 이용한다. 그런데 자료의
출처
가 모두 주소에 담기지 않다보니 이용자는 이 주소가 정상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단축 URL의 유해성을 사전에 검사해주는 보안 단축 URL이 개발됐지만 이런 보안 단축 URL을 악용해 허위 백신을 설치하게 ... ...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기업의 업무를 방해하고 심지어 돈을 요구하는 범죄가 늘고 있다. 디도스 공격은
출처
를 찾기 어려워 범인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또 피해자인 사이트 운영자 대부분이 조속한 복구를 위해 범인에게 돈을 주고 합의를 해버려 수사가 잘 이뤄지지 않는다. 그런데 최근 국내에서 적극적인 수사로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것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스마트폰에는 항상 비밀번호를 걸어두고 불필요하거나
출처
가 불분명한 서비스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이동훈 교수(donghlee@korea.ac.kr)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미국 오클라호마대에서 전산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