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조"(으)로 총 93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여기에 나이를 제한하는 검문소를 중간에 넣으면, 통과할 수 있는 사람이 생길까(위 그림 참조).김 교수는 “중간에 새로운 걸 넣어봤자 남자 또는 여자만 통과시키는 양 끝의 검문소를 모두 통과해 길 끝에 갈 수 있는 사람은 없다”면서 “하지만 양자역학적인 관점에서 빛의 입자가 지나간다고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유전자 수평전달이라고 한다(2016년 8월호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 참조). 세균의 유전자 계보는 마치 그물처럼 복잡하게 그려진다.그렇다면 세균 한 종을 대대로 배양해서 게놈 분석을 하면 되지 않을까. 좋은 생각이지만 우리가 배양할 수 있는 세균의 종류가 지구 전체 세균의 10%도 채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런 일이 생긴다. 전하량이 전자의 3분의 1밖에 안 되는 상태가 만들어진다(67쪽 그림 참조). 오직 전자로만 구성된 자연계에서 전자보다 작은 전하를 만들어낼 때 이것을 ‘발현된(emergent) 전하’라고 부른다. 러플린 덕분에 이제 분수 전하를 가진 쿼크 같은 기본 입자조차도 이런 발현성의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됐다.식물의 줄기 단면을 보면 여러 개의 물관이 조금씩 떨어져서 위치해 있다(43쪽 사진 참조). 즉, 전도선 여러 개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셈이다.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전도선이 축전기의 금속판과 같은 역할을 해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에서는 장미 ... ...
- Part 1. 한눈에 보는 구제역 바이러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어떤 구제역 바이러스가 언제 유행할지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과학동아 2월호 특집 2파트 참조).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2017 구제역 바이러스Part 1. 한눈에 보는 구제역 바이러스Part 2. 2017 구제역 전파 원인은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그로 인해 지구의 온도가 더욱 상승하는 이른바 ‘양의 되먹임’ 현상이 나타난다(2파트 참조). 이런 되먹임 현상은 구름이나 얼음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증폭시킬 수 있다. 요컨대, 이론상으로는 수증기 되먹임이 강하게 지속되면 수증기의 농도가 고정돼 있을 때보다 온도가 2~3.5배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독일의 빈센트시스템즈 사가 최근 처음으로 상품화했다. 이 의수는 아이림(지난화 참조)보다 훨씬 적은 12가지의 그립(쥐기) 동작밖에 할 수 없지만, 손 끝의 감각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환자들이 환지통을 덜 느끼고 유리나 종이처럼 파손되기 쉬운 물건을 더 잘 잡을 수 있다.뜨겁거나 차가운 감각,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자나 회로 연결은 63.1%로 줄일 수 있다(더 읽을 거리 참조).3진법 소자를 지지해줄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국내에서도 3진법에 맞는 논리 회로를 설계하는 연구자가 있다. 강석형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최근 더욱 효율적인 3진법 덧셈기와 곱셈기를 ... ...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보노보의 경우와도 비슷하다. 실제로 이들뿐만 아니라 구세계원숭이(위 분류표 참조)와 유인원의 동성애가 갖는 특징은, 동성끼리 실제 성행위와 비슷한 행동을 함으로써 서로의 유대 관계를 강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들의 동성애에서는 서로 교감이 이뤄지는지가 매우 중요할 것으로 ... ...
- Part 1. 따뜻한 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과학자와 장애인이 한몸처럼올해 첫 회를 맞는 *사이배슬론은 장애인의 재활을 돕는 최첨단 기술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경기예요. 대회는 10월 8일, 스위스 취리히에 있는 아이스하키 경기장에서 열려요. 25개 나라에서 모인 74개 팀이 참가할 예정이지요.우리나라에서도 전동휠체어, 입는 로봇,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