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관"(으)로 총 4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KRISS] 볼츠만 상수로 더 완벽해진 켈빈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온도를 묘사하는데 용이하다는 것이다. 온도는 길이나 중량과 달리눈에 보이지 않는 비직관적인 개념이다. 열역학에서 온도는 계를 구성하는 분자나 원자의 에너지 평균값이다. 켈빈 경은 원자의 평균 에너지가 0인 지점의 온도를 0 K로 정했다.켈빈 단위의 온도는 열역학 방정식에도 그대로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우리 교수님은 ‘필즈상을 두 번 받았어야 하는 분’이라는 얘기를 많이 들을 정도로, 직관력이 뛰어난 천재 수학자로 알려져 있어요. 아주 천천히 생각하며 한 발, 한 발 나아가지만, 그 길이 무척이나 효율적이라서 두뇌 회전이 빠른 수학자도 따라갈 수 없다고나 할까요? 느린 것처럼 보이지만,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없이 나팔관의 안쪽과 바깥쪽을 구분하는 비결이 궁금해집니다. 난자로 향하는 정자의 직관적인 움직임은 세 가지기작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주열성(thermotaxis)’입니다. 주열성은 서로 다른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가 높은 쪽 또는 낮은 쪽으로 움직이는 특성입니다. 자궁 가까이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바닷가, 조개껍데기는 해변, 바위는 높은 곳’ 등 원하는 자원이 어느 지역에 많은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Interview] 넥슨 왓스튜디오 리드게임기획자_강임성 넥슨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나과거에는 ‘올림픽 게임 시티’ ‘트레인 시티’ 같은 게임을 기획했다. 최근에는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대 기계의 대결이 아니다. 기계를 가진 인간 대 기계가 없는 인간의 대결이다.데이터와 직관력은 말과 기수와 같다. 당신은 말을 앞지르려 노력할 필요 없다. 당신은 말을 탄다.’김재인 박사(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객원연구원)의 저서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중의 한 구절이다. 김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게임 세계에서도 본능적으로 넓고 밝은 길로 간다”고 말했다.그는 “특히 빛은 직관적으로 길을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면서 “두 갈래 길 중 한쪽에만 밝게 조명을 주거나, 둘 중 한 쪽 길에 들어섰을 때만 가로등이 켜진다거나, 또는 문 위에 전등을 달면 마치 문을 열고 들어가라고 말하는 것과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파악하기 위해 가설을 세우고 직접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검증했다”며 “이 방식이 직관적인 판단보다는 훨씬 정확하지만, 유저가 이 지점에서 왜 점프했는지, 특정 던전에서 왜 이탈률이 높은지 등 유저의 세세한 행동에 대한 원인은 분석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고 밝혔다. 가령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들어있는 소금을 따로 구해서 더해야 하니까요. 소금물의 시소 타기자, 여기서 직관을 발휘해 봅시다! 만약 소금물의 양은 같고 농도가 다른 두 소금물을 섞으면 어떻게 될까요? 무게가 같은 두 사람이 시소를 타면 시소의 축이 정확히 중간에 있을 때 평형을 이루는 것처럼 두 농도의 딱 중간 ... ...
- 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따라서 3차원에서 만나는 클라인 병은 진짜가 아닌 거지. 클라인 병이 어떤 모양인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만든 모형이라고 할 수 있어. 클라인 병을 3차원에 묻을 방법은 없다!위상수학에서는 곡면이 자기 몸을 뚫고 들어가지 않아도 특정한 차원에 별 탈 없이 있을 수 있으면 그 공간에 ... ...
- [신학기 특별기획] 영재학교·특목고·자사고 합격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상황을 수학적으로 일반화시키는 능력을 요구한다. 반면 세트 단답형은 주어진 상황을 직관적으로 예상하고 효율적인 계산을 통해 검증하고 확인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학교별로 유형을 살펴보면, 경기과학고와 서울과학고는 모든 문제를 세트형으로 출제하고 단답형과 서술형을 적절히 묶었다.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