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
손가락 관절부
손가락 마디 뼈
d라이브러리
"
주먹
"(으)로 총 26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찾도록 하여라.]글씨 아래엔 연월기가 버려졌다는 산이 지도에 그려져 있었다.지오는 두
주먹
을 다부지게 쥐었다. 그리고 지도를 따라 걸음을 옮기기 시작했다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어요. 무장한 전사들이 밀림에서 호전적인 소리를 지르며 달려가 사냥한 것은 한
주먹
거리밖에 안 돼 보이는 작은 새나 초식 들짐승이었다고 하죠. 저희도 마찬가지였어요. 일부러 먼 곳에서 큰 동물을 잡기보다는 가까운 곳에서 볼 수 있는 순한 동물을 사냥했지요. 먹을 만큼만 잡으면 되니까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두
주먹
을 합친 크기의 뇌 안에는 약 1000억 개의 뉴런(신경세포)이 있다. 엄청난 숫자 같지만 사실 뇌 안에는 약 1조 개의 세포가 있다. 뉴런은 뇌세포의 10%에 불과한 셈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90%는 어떤 세포일까. 바로 신경교세포다. 그런데 뉴런에 가려 별 볼 일 없는 존재였던 신경교세포가 최근 ... ...
사랑이 듬뿍 담긴 초코칩쿠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2호
1월 14일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쿠키를 선물하는 쿠키데이입니다.”썰렁홈즈는 아침부터
주먹
을 불끈 쥐었다. 쿠키데이를 맞이해 불우이웃에게 선물을하려고 굳게 마음먹었기 때문이었다. 물론 선물은 썰렁홈즈가 직접 만든 쿠키세트!“그래! 아무래도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초코칩쿠키가 좋겠어 ... ...
구불구불~, 속 보이는 발명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 만두라면 자다가도 일어나서 먹는다구!”세계만두먹기대회에 참가한 썰렁홈즈가 두
주먹
을 불끈 쥐었다. 평소 만두를 가장 좋아했던 썰렁홈즈는 맘껏 만두를 먹는다는 생각에 대회 시작부터 마음이 들떴다.썰렁홈즈는 정말 손이 안 보일 정도로 만두를 먹었다. 드디어 마지막 한 개만 더 먹으면 ... ...
자판기에 생명을 불어넣은 종이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잇따고 생각한대.종이컵 정도는 없어도 되지 않을라? 하하하…!편지를 읽은 썰렁홈즈는
주먹
을 불끈 쥐었다.“업새블라 녀석! 또 사고를 쳤구나.”썰렁홈즈는 무하마다 자팡기와 함께 종이컵 발명가를 찾으러 1907년 미국의 하버드대학교로 향했다. 그나저나 업새블라는 언제 국어 공부를 할까?어떤 ... ...
시원한 삼각팬티 발명가, 사쿠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발명까지 방해를 해?”썰렁홈즈는 세상의 모든 삼각팬티를 제자리에 돌려놓기 위해서 두
주먹
을 불끈 쥐었다. 그리고는 삼각팬티를 발명한 발명가를 찾아 떠났다.“장소는 일본, 시대는 1950년.”도착해 보니 역시 악당 업새블라가 삼각팬티 발명가인 사쿠라이 할머니를 방해하고 있었다.“하하!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도착하니 예상외의 풍경이 펼쳐져 있었다. 아무도, 아무 것도 없었다. 해변에 깔린
주먹
만 한 소라 껍데기들과 연두색, 분홍색을 띠는 둥근 조약돌만이 이곳이 마도의 끝이라고 말해주고 있었다. 그곳에서 ‘달달달’ 소리를 내는 고무 모터보트에 올라탔다. 보트가 너무 빠른 탓인지 파도가 심한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살펴본다) 그런데 색깔이 특이하다고 과일이 보약이라는 말은 좀 이해가 안 가요. (
주먹
을 불끈 쥐고) 저는 과학동아 열혈독자로서 육종 기술을 이용하면 식물의 특징을 바꿀 수 있다는 것쯤은 잘 알고 있답니다. 지난해 8월호에 육종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고요. 김 박사 하하, 우리는 색깔만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위로 말아 올려 쪽진 머리였으며, 손도 왼손 위에 오른손을 포개고 있는 것이 아니라
주먹
을 쥐고 있었다고 발표했다.2010년 7월, 프랑스 박물관 복원연구센터(CNRS)의 과학자들은 좀 더 정밀한 연구 결과를 최고 화학 학술지인 ‘앙게반테 케미’에 발표했다. 필립 왈터 박사와 로랑스 드 비그리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