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탐라
삼다도
삼무
탐라국
d라이브러리
"
제주도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를 위한 과학] 매미 찾아 삼만리! 배윤혁, 허지만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8호
매미를 연구하고 싶어서 제주대에 진학했어요. 내륙에는 검정색 풀매미만 있는데,
제주도
에는 초록색 풀매미만 있거든요. 과거 경기도 지역에도 초록색 풀매미가 있었는데 도시가 개발되면서 점점 찾기 어려워졌다고 해요. 앞으로 환경과 풀매미의 변이, 분포에 대해 알아보고 싶어요 ...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않은 종인 경우가 있거든요. 제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해 보고한 줄무늬쥐치도
제주도
동문시장에서 쥐치라는 이름으로 팔리고 있었죠. 배로 잡기 힘든 종은 스노쿨링이나 다이빙을 해서 직접 채집한답니다.심해 물고기의 유전자는 모두 비슷하다?! - 김경무저는 동해 깊은 곳에 사는 어류의 ... ...
21세기 아인슈타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들려주세요.지금 한국 상황에 대해 인터넷으로 보았어요.
제주도
에 있는 예멘인이 SNS에 글을 올려주고 있거든요. 예멘인이 전쟁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왔다는 걸 이해해주면 좋겠어요. 전쟁이 끝나면 언제든 예멘으로 돌아가고 싶어 할 거예요. 또 예멘인은 언제든 일할 준비가 ... ...
아인슈타인도 난민!?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초 예멘인 500여 명이
제주도
에 들어왔다는 소식에 온 나라가 들썩였어. 인터넷에는 난민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지고 있지. 그런데 많은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다고 해. 난민 문제도 과학으로 풀 수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아인슈타인도 난민!?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 ... ...
난민 신청자가 급증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상황부터 알아보자! 예멘 난민, 한국에 도착하다올해 초부터 5월까지 예멘인 561명이
제주도
에 들어왔어요. 이 소식에 난민*을 보호하는 난민법을 폐지하자는 국민청원이 청와대 게시판에 올라와 역대 가장 많은 수인 71만여 명이 동의했지요.(*난민: 전쟁과 종교, 인종, 정치적인 의견을 이유로 ... ...
먹고 사는 일도 과학이 돕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6호
그럼에도 많은 국가가 난민을 무작위로 배치하지요. 또 우리나라는 예멘 난민 신청자가
제주도
에서만 일자리를 구하도록 하고 있어요.스위스 취리히공과대학교 이민정책연구소 연구팀은 올해 초 난민의 취업률을 높이는 인공지능을 개발했어요. 난민의 특성에 따라 일자리를 구하기 쉬운 지역을 ... ...
[보안] 심사와 검색을 한 번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비행기 티켓을 따로 들고 다닐 필요가 없어요. 실제로 지난 1월 중순부터 김포와
제주도
를 오가는 여행객들은 신분증 대신 생체 정보로 신원을 확인한 뒤 공항을 이용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활주로가 도넛 모양? 공항의 변신[보안] 심사와 검색을 한 번에![안전] IoT와 ... ...
Part 2. 바다에서 폭풍을 기다린다! 웨이브 글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제주특성연구실 손영백 선임연구원은 “웨이브 글라이더를 이용하면
제주도
남쪽 바다에서 한반도 방향으로 북상하는 태풍을 미리 관측할 수 있다”며, “앞으로 웨이브 글라이더를 이용해 한국에 다가올 태풍의 세기와 방향을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
제주도
에서 만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4호
무리를 가리키며 말했어요. 제돌이는 불법 포획되어 돌고래쇼에 동원되었다가 2013년에
제주도
바다에 방류된 남방큰돌고래지요. 그런데 김미연 연구원은 어떻게 멀리서도 제돌이를 알아볼 수 있었던 걸까요?“등지느러미의 모양으로 알아볼 수 있어요.”연구자들은 등지느러미 모양을 비교해서 12 ... ...
Part 1. 한반도, 정말 아열대가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년 중 8개월을 넘는 기후’를 아열대라고 불렀어요. 이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선 현재
제주도
와 한반도 남쪽 일부 지역만 아열대 기후에 속한답니다. 하지만 앞으로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지역은 점차 늘어날 거예요. 실제로 지난 50년간 한반도의 연평균 기온과 수온은 모두 1℃ 정도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