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해
예방
방지
제한
금지
차단
억류
d라이브러리
"
저지
"(으)로 총 188건 검색되었습니다.
헬리콥터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된다. 당시 개발개념은 급속도로 숫적인 증가를 보인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전차를
저지
하기 위해 주야간은 물론 악천후시에도 운용할 수 있으며 생존성과 기민성을 크게 강화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주야간 및 악천후시에도 운용 가능한 목표물 탐색 및 선정 시스템(TADS)과 조종사 야시장비(PNVS)를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이 중량의 수송을 위해서는 특별 수송시스템이 개발돼야 한다. 발전소의 건설은LEO(
저지
구주회궤도)에서 이루어지며 우선 지구에서 LEO로 수송하는 HLLV(고양력 수송선)는 우주 왕복선의 15배의 수송능력 4백25t을 가정하고 있다. 이 고양력 수송선의 연료는 지구 상층대기권을 오염시키지 않기 위해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서는 시계가 늦게 간다. 그러므로 산꼭대기에 걸려있는 시계는 빨리가고 산밑
저지
에 있는 집의 시계는 이보다 훨씬 늦게 가게 되는 것이다.그렇다면 만약 중성자별에 사람이 산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중성자별에 집을 장만한 신혼부부가 있다고 하자. 그리고 새신랑은 산꼭대기에는 있는 ... ...
상어의 연골이 항암작용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수 없어 암에 걸리지 않는다는 것이다.이 방송은 암의 병소에 상어의 연골에 든 혈관작성
저지
단백질을 주입하면 암을 격퇴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방송에서는 상어의 연골을 투여받은 말기암환자가 건강해진 모습, 걷지도 못할 정도였던 전립선암환자가 상어연골을 투여받은 지 16주만에 조깅을 할 ... ...
1. 한글·영문 글자꼴 어떤 종류가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you see is what you get)이 실현됐다. 더구나 이 두 업체는 어도비사가 내놓은 타입 1의 독점을
저지
하고 자신들의 트루타입 방식을 윤곽선 폰트의 표준으로 대체하기 위한 야심으로 제작기술을 전면 공개했다.트루타입폰트는 값이 싸고, 진정한 위지윅이 실현되는데다 대부분의 프린터를 지원하므로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2.85m(수컷)인 것으로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법칙은 같은 벵갈호랑이에서도 더운
저지
대의 것보다 네팔과 같이 한냉한 고지대의 것이 다소 큰 모습을 보인다.알렌(Allen)의 법획 : 추운 지방의 것은 더운 지방의 것보다 귀 목 다리 꼬리 등이 비교적 짧고 작다. 즉 짧고 작을수록 체표면적이 작기 ... ...
특허받은 동물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것은 장차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시킬 수 있다 하여 동물에 대한 특허권 행사를
저지
하는데 총력을 기울였다.동물특허가 2년간 금지되자 생명공학 연구자들을 비롯한 동물특허권 찬성그룹들은 질병모델로 생산된 형질변환생쥐의 실험적 이용은 동물의 학대를 훨씬 줄일 수 있다는 논리로 반대자들을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사람의 점막을 통하여 침입하기 때문에 침투로의 입구가 되는 점막에서 HIV의 침입을
저지
할 수 있는 면역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백신은 무엇보다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한번 백신을 맞으면 가능한 한 오랜기간 면역이 유지되는 것이 유리함은 물론이다.실험동물이 태부족해한편 ... ...
산양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택한 지역에서 영구히 살며, 좀체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그러나 눈이 많은 지역에서는
저지
대로 내려올 때가 있다.암수의 색채와 크기, 뿔의 길이는 비슷하다. 이 뿔은 한방에서 신경제나 진통제로 사용한다. 몸길이 90~1백30㎝, 높이 50~71㎝, 체중 22~32㎏이며 2m 이상 높이 뛰고 발바닥은 바위에 잘 붙기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강한 힘을 느낄 수 있다. 비록 머리는 숙이고 있지만 쑥쑥 뻗어 올라오는 힘을 누가 감히
저지
할 수 있으랴.솔잎란은 분명히 양치식물의 일종이다. 난초가 아니면서도 이름 끝에 '난'이 붙은 것이 이채롭다. 이 식물은 뿌리가 없으나 바위틈에서 잘 산다. 또 잎이 없어도 몸통으로 광합성을 하며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