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용"(으)로 총 5,10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거울 나라의 우유는 마실 수 없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낄 수 있는 것처럼, 거울상 이성질체 분자와 우리 몸속의 물질이 서로 짝이 맞아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어요. 거울 나라의 우유는 거울상 이성질체인 단백질로 이뤄졌을 것이기에 우리 몸에서는 소화가 되지 않을 수 있어요. #통합과학 넓히기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거울상 이성질체는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측정했다. 예를 들면 새로운 과일이 주어진 상황에서, 침팬지가 다른 개체와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침팬지가 다가가서 행동을 관찰하고 그 영향을 받는 수준을 측정했다. 그 결과로 사회적 교류가 가장 활발한 침팬지들이 다른 개체의 반응 행동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콜라겐 분자들 사이에서 공유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연구팀은 로즈벵갈 염료가 계속 작용할 수 있도록 빛 에너지를 저장해서 30분 이상 녹색 빛을 내는 잔광발광입자(ALP・afterglow luminescent particle)를 만들었다. 전기 상처 자극 → 피부세포 증식 활성화 상처는 전기로도 치료할 수 있다. 세바스찬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대부분의 작업에서 우리의 뇌는 기존 컴퓨터를 따라갈 수 없지만, 인간의 두뇌가 더 잘 작용하는 분야가 분명히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양된 뇌세포가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여러 연구가 나왔지만, 그중 아직까지 장기 기억을 실현한 연구는 없었다”며, “뇌 오가노이드의 장기 기억이 ... ...
- 프로야구 순위 경쟁, 게임 체인저는 여름?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많은 것과 팀 순위와는 별개다. 순위에는 선수의 자질, 팀의 플레이 등 여러 요소가 작용한다”고 말했다. 더울수록 볼 판정 정확도 떨어져 앞서 말한 것처럼 경기의 승패를 가르는 요소는 다양하다. 그중 높은 기온의 영향을 받는 것이 또 있다. 바로 심판의 투구 판정 정확성이다. 야구에서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밀키웨이인입니다! 지웅배 고양이와 우주를 사랑한다. 은하들이 사랑을 나누고 상호작용하는 세계를 연구한다. 우주를 가이드하며 현실 세계에서의 은하철도 999 차장을 꿈꾼다. galaxy.wb.zi@gmail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현재로선 블라스토이드와 가스트룰로이드에서 자연스러운 세포, 조직 간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것이 바로 인공배아 제작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인공배아를 만드는 연구는 2018년 시작된 이래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중국과학원 연구팀은 원숭이의 인공배아를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접했어요. 첫 마음으로 다시 찾은 나만의 북극성 KAIST 대학원에선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전공하며, 연구와 개발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배웠어요. 연구자는 알려지지 않은 것을 탐구해 새 지식을 만들고, 개발자는 사람에게 유용한 것을 만듭니다. 지식을 익히는 것과 만드는 것의 차이는 컸어요. ... ...
- [가상 인터뷰] 어린이와 어른은 시간을 다르게 경험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생물시계●는 없다”며 “앞으로 생물학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측면에서 생물시계의 작용 원리를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용어 설명●절대시간 : 외부 변화와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일정한 속도로 시간이 흐른다는 개념. ●생물시계 : 생물의 몸속에 있는 시간을 측정하는 기구 ... ...
- ‘기적의 다이어트약’ 출시, 이번엔 진짜 기적 맞아?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이어 “특히 PPAR γ를 타깃으로 하던 기존 약들이 갖고 있던 부종, 체중 증가 등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도록 새로운 방식의 활용방법을 찾고, 검증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김하일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는 다른 방식의 지방세포 리모델링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백색 지방이나 베이지색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