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벌레들의 대량발생 방제보단 공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경우도 많고, 설령 해충이더라도 모두 생태계에선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인간이 곤충과 함께 살아가야 하는 이유는 최근 꿀벌이 사라진 사태만으로도 이미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꿀벌뿐만 아니라, 하루살이나 해충인 모기조차 우리 주변에서 식물의 화분을 돕는 소중한 ...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램보처럼 빛의 파장을 바꿀 수 있다면 어떨까요. 가장 쉬우면서도 재미있는 상상은 투명인간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빛은 모두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인데요, 내 몸에 맞고 반사되는 빛의 파장을 모두 자외선으로 바꿔 버린다면 순식간에 눈앞에서 사라져 버릴 수 있겠죠. 열대지방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더위를 피하려던 임금님, 사기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엘니뇨와 라니냐●는 수천 년간 번갈아 이어져온 자연적인 현상이에요. 하지만 최근에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기후변화 때문에 엘니뇨와 라니냐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어요. 특히 지난해까지는 3년 동안 라니냐가 지속되는 ‘트리플 딥 라니냐’가 관측됐는데, 이는 70여 년간 단 두 차례만 발생할 ... ...
- [러셀 탐구생활] 제 12장. 러셀의 삶이 우리에게 남긴 것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실패와 결함으로 얼룩져 있지만 그것을 모두 받아들이고 극복하고자 투쟁하는 한 명의 인간으로서 마주할 수 있습니다. 그의 삶이 증명하는 불완전함의 위대함, 부조리의 아름다움이야말로 진정한 러셀의 역설입니다. ■ “내게 기회가 주어진다면 기꺼이 다시 살 것이다” ■ 앞서 러셀이 ...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해수면 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아문센해의 빙붕이 인간이 어떻게 해도 이미 돌이킬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월 23일, 케이틀린 노턴 영국 남극연구소(BAS) 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은 21세기 아문센해의 빙붕이 녹는 속도가 20세기보다 3배 빨라질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6 “콜린스 소장은 2003년 HGP를 완료한 후 유전체 연구의 청사진을 발표합니다. HGP가 만든 인간 유전체가 먼저 생물학을, 그 다음엔 의학을, 나중에는 사회에 혁명적 변화를 일으킬 거라는 내용이었죠. 지금까지의 유전체학은 생물학을 바꿨고, 지금은 의학을 바꾸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사회를 ... ...
- [이달의 과학사] 1667년 6월 15일, 인간에게 첫 수혈,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됩니다. 산부인과 의사 제임스 브룬델은 아이를 낳고 과도하게 피를 흘리는 산모에게 인간의 피를 수혈했습니다. 그 결과, 일부의 목숨은 구했지만, 일부는 사망했어요. 당시에는 혈액형에 대한 개념이 없어 혈액형과 무관하게 수혈이 이뤄져, 부작용이 나타났거든요. 이후 1900년, ABO 혈액형 개념이 ... ...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이후부터 쭉, 유전체 연구는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을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흘러온 거죠. 올해의 마지막 과학동아 특집은 이런 과학의 큰 흐름을 보여드리고자 했습니다. 미래는 본디 불확실하지만 과학의 큰 흐름이 내년을 준비하고, 10년 뒤를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발표했다. 2020년에 출시한 GPT-3의 개량 모델 GPT-3.5를 기반으로 제작한 베타버전은 인간의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학습, ‘RLHF(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를 통해 언어모델의 수준을 한층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챗GPT는 2023년 1월, 발표 2개월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 수(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있는 해충 ‘이’는 침팬지에게만 존재한다. 따라서 DNA의 유사성으로만 따지면 인간은 침팬지와 더 유사하지만, 음모의 형태와 기생하는 사면발이를 봐서는 고릴라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지 않을까 추측해볼 수 있다. 신 교수는 “이것이 그나마 (음모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라며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