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편"(으)로 총 301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우애수, 완전수, 삼각수, 아라비아수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찾아볼 수 있는 수많은 번호, 예를 들어 전화 번호, 상품 번호, 도서 번호, 자동차 번호, 우편 번호, 아파트 번호, 전철과 도로 번호, 계좌 번호, 신용카드 번호, 비밀 번호, 주민등록 번호, 수험 번호, 학번, 군번 등은 우리가 수 속에 파묻혀 살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시간, 거리, 속도, 넓이, 부피, ... ...
- 전화, 이젠 공짜로 쓰자과학동아 l2000년 03호
- 활용할 수 있다. 총 저장 용량은 10MB.일단 회원 가입을 하면 개인 사서함 번호와 전자 우편 주소가 발급된다. 외부에서 트루박스 대표 번호인 1588-8300으로 전화를 걸고 수신받는 상대의 번호를 입력해서 메일을 보내거나 팩스를 보내면, 트루박스에 메시지가 저장된다. 그러면 수신받는 사람은 웹 ... ...
- 전자상거래 시대 개척한 아마존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책을 고른 다음 신용카드로 결제만하면 된다. 그러면 미국의 경우 이틀 이내에 우편으로 책이나 CD등의 제품이 배달된다. 아미존은 처음에 보관창고를 갖지 않기로 했으나 현실적인 필요성 때문에 점차 창고의 수를 늘려가고 있다. 최첨단 시설을 갖춘 창고에서 제품을 포장하고 발송하는 작업은 ...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과학동아 l1999년 12호
- I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가 원하는 장소를 찾아가기 위한 주소체계를 말한다. 우체부가 우편물을 들고 주소지를 찾아가는 체계를 만든 것이고, 가는 길(네트워크)은 우체부의 생각에 맡긴 것이다. TCP/IP의 개발은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 즉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했다. 인터넷(Internet)이란 ...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과학동아 l1999년 11호
-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지표라는 의미에서 ‘주소가 기재된 꼬리표’(address tags) 또는 ‘우편번호’(zip code)라고 불리기도 한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이 ‘꼬리표’는 단백질 양쪽 끝의 어느 한 부위뿐 아니라 단백질 중간에 존재하기도 한다.블로벨 박사가 제창한 단백질 이동에 관한 가설은 어떤 ... ...
- 음악파일의 혁명 MP3과학동아 l1999년 10호
- 중인지)를 알려주고, MSN 핫메일에 가입된 전세계 5천만 사용자와 온라인 메시지와 전자우편을 쉽게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 서비스를 받으려면 messenger.msn.co.kr에 접속하면 된다.메리디안59, 국내 서비스 예정네트워크게임 개발회사인 비테크놀러지는 3DO가 개발해 해외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메리디안 ... ...
- DNA에 암호를 담는다과학동아 l1999년 07호
- 해서 나타난 특정한 점을 떼내 편지에 붙인다.과학자들은 엄격하기로 소문난 미국의 우편제도 아래서도 DNA 암호가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직접 편지를 보냈다. 그들은 도착한 편지에서 DNA 암호를 찾아내 내용을 읽어낼 수가 있었다.이 방법은 획기적이지만 열쇠가 되는 염기배열을 ... ...
- Ⅰ. 미래 직업의 가치과학동아 l1999년 06호
- 바꾸어 놓았다. 이제는 전세계가 하루에 갈 수 있는 거리가 됏으며, 전화 한 통화나 전자우편으로 거의 모든 곳에 있는 사람과 대화할 수 있게 됐다. 그럼으로써 예전에는 할 수 없었던 많은 일들이 이뤄지게 된 것이다.놓칠 수 없는 두 마리 토끼직업을 통해 개인은 자신이 꿈꾸는 일을 성취할 수 ...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4. 환경공학자 황석환과학동아 l1999년 06호
-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내용도 만만치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강의노트를 학생들에게 전자우편으로 보내고, 집이 가깝기 때문이라는 핑계를 대며 저녁 먹고 연구실로 두번째 출근을 하며, 흐르는 것만 보면 저 안에서 무슨 일들이 일어나고 있을까 생각하는 과학자. 그는 국내에서의 아쉬운 점은 ... ...
- 한국과학문화 종합정보망과학동아 l1999년 04호
- 과학문화를 토론하는 광장으로 만들려고 한다. 그래서 회원에 가입하면 무료로 전자우편 주소를 할당하고, 사이버 과학문화공동체를 만들어 각종 과학동호회들의 활동을 지원할 예정이다. 과학문화종합정보망은 2000년 12월에 최종 완성된다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