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달 남극, 최초로 밟았다...찬드라얀 3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인류는 또 한 번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지난 8월 23일,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인도의 무인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가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남극에 도착하자 기쁨을 표했어요. 1959년 러시아의 무인 달 탐사선 ‘루나 2호’가 달에 처음 착륙한 지 64년 만에 일궈낸 성과죠. 인류 문명 ... ...
- 달 남극, 내후년엔 사람이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타이타늄과 세륨 등 첨단 산업에 꼭 필요한 희토류도 매장되어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천이진 부장은 “달과 같이 극한 환경에서 행하는 연구는 인류의 기술 발전에 큰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어요. 목표는 달에서 자급자족? 달 남극에는 햇빛이 영원히 닿지 않는 ‘영구음영지역’이 ... ...
- [기획] 꿈★은 이루어질까?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올여름, 꿈의 물질로 불리는 상온 초전도체 ‘LK-99’를 우리나라 과학자가 개발했다는 소식에 전 세계가 들썩였어. 정말 상온 초전도체를 개발했다면 노벨 물리학상은 따 놓은 당상인 데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비롯해 일상이 뒤바뀔 수 있기 때문이지.상온 초전도체는 아직 검증 중이지만, 안타 ... ...
- 꿈의 물질인 이유는? 상온 초전도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200℃ 이하로 낮춰야 하는데, 냉각 장치를 운영하는 데 꽤 큰 비용이 들거든요. 한국원자력연구원 김찬중 박사는 “상온 초전도체가 개발되면 지금처럼 초저온 냉각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초전도체가 일상의 모든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강력한 자기장으로 에너지 절약한다 ... ...
- 상온, 상압에서 된다고? LK-99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한 달간 중국, 미국 등 전 세계 연구팀이 이석배 연구원팀의 논문에 나온 제조법에 따라 LK-99를 합성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어떤 연구팀도 LK-99가 특정 온도에서 저항이 0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지 못했어요. 검증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지만,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행성을 내 손으로? 태양계 행성 액자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마르면서 보통 T 모양으로 갈라져요. 하지만 이 진흙 퇴적물은 육각형 모양이었죠. 라핀 연구원은 “T자 모양의 진흙이 수십억 년 동안 주기적으로 물에 노출되면서 T에서 Y자 모양을 거쳐 육각형 모양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발견은 화성에 규칙적으로 비가 오지 않는 ... ...
- [특집] 우리 동네가 가라앉는다면 해수면 상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7월 24일, 전라남도 목포가 물에 잠겼어요. 건물에도, 주유소에도 물이 차올라 시민들은바지를 걷어붙이고 물살을 가르며 다녀야 했습니다. 그런데 목포의 침수 피해, 비가 많이 와서 그런 것만은 아니었어요. 한 가지 이유가 더 있었지요. 바로, ‘해수면 상승’입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 ... ...
- [가상 인터뷰] 해열제, 얼리면 독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가진 장소라면 어디서나 독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 극지연구소 김기태 책임연구원은 “최근 의약품 성분들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남극이나 북극까지 오고 있다”며 “이들이 동결 농축 효과로 인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변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극지 생물에게 미칠 ... ...
- [과학뉴스] 국내 최초 ‘눈 없는 거미’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살아 시력이 퇴화한 나머지 눈이 아예 없다는 것입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유정선 연구원은 “진동굴성 거미는 보통 거미와 달리 눈이 6개로 적은 편이지만, 눈이 아예 없는 거미를 국내에서 발견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한국구슬거미가 동굴 안에서 거미줄을 칠 곳을 어떻게 찾는지는 더 많은 ... ...
- [섭섭박사 메이커] 3D 프린터가 내 손안에? 3D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온도가 높으니 사용할 땐 반드시 보호자의 지도를 따르세요. 지난 4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소프트융합소재연구센터 정승준 박사팀은 마요네즈처럼 부드러우면서도 형태를 잘 유지하는 3D 프린터용 전도체* 잉크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실제로 연구팀은 새 잉크의 해답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