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행기록"(으)로 총 53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n] 이 책을 여는 순간, 당신의 뇌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과학동아 12월호를 만들면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거대한 핵융합 장치 중 하나인 ‘스텔러레이터’ 사진을 표지로 결정했는데, 알고 보니 영국의 과학자 겸 아티스트가 일본에 있는 거대나선장치를 모티브로 상상력을 덧붙여 만든 그래픽이었던 것이다. 과학자인 동시에 아티스트라니, 상상만 ...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보물을 잔뜩 실은 배가 바닷속에서 발견됐다는 이야기 들어 봤나요? 마치 동화에서만 있을 것 같은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났어요. 지금으로부터 800년 전인 고려시대에 우리나라 바다를 누비던 배가 2009년에 발견됐거든요! 그리고 이 배가 얼마 전 옛날 모습과 크기 그대로 복원됐다는 사실! 어린이 ...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문을 들어서자 정돈이 잘 된 작은 진료실이 눈에 들어왔다. 그런데 그곳에서 나를 맞이하고 있던 것에 흠칫 놀랐다. 하우스 박사가 매서운 눈으로 나를 노려보고 있었다!“아니, 킴선. 얼굴이 피곤해 보이네? 설마 아직 적응을 못했나?”하우스 박사는 내 이름 김선홍을 늘 헷갈려 짧게 두 글자로 킴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0“나는 앞으로 다가올 겨울 내내 인듀어런스 호의 발이 묶이고 말 것을 확신할 수 있었다. (중략) 물개들도 사라졌고 새들도 우리를 떠났다. 맑은 날에는 멀리 수평선 너머로 육지가 보였지만, 지금 현재로서는 우리가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곳이었다. 배를 정박시킬 만한 장소를 지나쳤던 것에 대 ... ...
- 아마추어 천문가 ‘벼리빈 나는바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달에는 수많은 크레이터가 있어요. 운석이 충돌해서 생긴….”맑은 가을밤. 썰렁홈즈와 다무러는 도시 한 가운데에 있는 과학동아 천문대에 갔다. 아마추어 천문가 ‘벼리빈 나는바메’는 재미있는 우주이야기를 시작했다.“혹시 크레이터가 운석 때문에 생겼다고 주장한 과학자가 누군지 아시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꿈과 환상을 깨는 이야기지만, 실제로 보는 오로라는 사진만큼 화려하지 않다. 북극해에서 오로라를 직접 본 김봉욱 아라온호 선장은 당시 경험을 이렇게 표현했다.“눈으로 그냥 보면 구름인지,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인지 오로라인지 구분이 안갑니다. 카메라 화면으로 보니 그제서야 그 초록색이 ... ...
- [fun] 두꺼운 도감에 따뜻한 이야기를 불어넣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도감을 만드는 일은 ‘노가다’다. 눈에 잘 보이지도 않는 작은 생물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서 털끝 하나까지 특징을 기록해야한다. 사진한 장 찍는 일도 호락호락하지 않다. 둥그런 몸체를 가까이 찍다보면 초점이 나가기 일쑤다. 생물을 돋보이게 만드는 바탕 색지를 찾으러 시장바닥을 뒤지는 ...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이르면 올해 안에 민간 우주관광이 시작될 전망이다.우주관광을 예약한 사람이 이미 700명에 육박하고 있고,이들이 탈 우주관광선도 미국과 영국에서 점점 완성되고 있다.민간 우주관광의 짧지만 놀라운 역사를 살펴보자. 인류에게 우주에 대한 열망은 본능과도 같았다. 2세기경, 고대 로마시대의 ... ...
- Part ➋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100배 즐기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열리는 강연은 대부분 학술강연으로 일반인이 듣기에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 하지만 실망할 필요 없다.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에는 수학자들을 위한 강연뿐만 아니라, 대중들이 수학을 좀 더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준비한 수학 문화 행사도 풍성하다. 이번 대회만의 특징 ... ...
- INTRO. 그대, 살아서 꿈틀대는 동해를 보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애국가 첫 소절 첫 단어가 바로 ‘동해’다. 가사 속의 동해는 우리 민족과 운명을 같이하는 결코 없어지지않을 영원함을 담고 있다. 그런데 요즘 또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고,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망언이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렸다.이 같은 움직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