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이 부족한 초등학생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분비를 촉진해요. 반대로 푸른 파장의 빛 자극이 커지면 멜라토닌의 분비를
억제
해 잠이 깨도록 유도해요. 그런데 밤에도 TV, 스마트폰 화면을 통해 계속 푸른 파장의 빛 자극을 받으면 멜라토닌이 제때 분비되지 않아 밤이 깊어도 잠자기가 힘들어지죠 ... ...
잠 안 자면 건강이 나빠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교감 신경계가 흥분하며 심장 박동수가 빨라지고 혈압이 높아져요. 음식 소화 반응은
억제
되지요.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몸에 큰 스트레스를 줄 수 있지만, 다행히 교감 신경계의 흥분은 위험이 사라지면 금방 가라앉아요. 그런데 수면이 부족하면 교감 신경계가 꺼지지 않고 계속 켜져 있어 건강에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그런데 칼레트라의 두 성분이 프로테아제의 작용을 막고, 결과적으로 바이러스의 증식이
억제
됩니다.코로나19처럼 새롭게 등장한 감염병에는 당장 꼭 맞는 치료제가 없습니다. 치료제가 개발될 때까지는 증상에 따라 현재 출시된 약 중 안전성이 검증된 치료제를 마치 칵테일처럼 조합해 사용하는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가령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면역관문수용체의 경우 수용체의 작용을
억제
하면 면역세포가 활성화되면서 암세포를 죽인다. 많은 항암제가 이를 이용해 암세포를 없앤다.그런데 이와 반대로 면역관문수용체의 작용을 촉진해도 면역세포인 T세포가 활성화돼 암세포를 사멸시키기도 한다. ... ...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2호
즉, 빛을 통해 쥐가 특정 장소를 좋아하게 만든 것이지요. 반대로 연구팀이 도파민
억제
약물을 뇌에 주입하자 도파민이 분비되는 뇌 신경회로가 제어됐고, 쥐는 더 이상 특정 장소를 선호하지 않았답니다. 용어정리* 보상회로 : 쾌락을 느끼게 하는 뇌의 쾌감 중추 ... ...
[노벨생리의학상] 산소가 부족할 때 몸속에선 어떤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노벨 생리의학상은 산소가 부족할 때 몸속에서 일어나는 일을 밝혀낸 과학자 세 명에게 돌아갔요. 우리 몸은 산소가 부족한 긴급 상황을 ... 증식하는 과정에서 산소가 부족해지며 HIF-α 단백질이 활성된다”며, “이 단백질을
억제
시켜 암을 치료하려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어요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달라질 수 있다. 유지방이 10% 이상인 소프트 아이스크림은 유지방이 얼음 결정의 생성을
억제
해 부드럽게 느껴진다. 우유를 얼린 ‘우유 얼음’을 사용하는 눈꽃빙수가 일반 빙수의 얼음보다 부드러운 것도 같은 맥락이다.얼음 결정의 크기도 식감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아이스크림은 얼음 ... ...
밤에 오는 불청객을 쫓아내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가위눌림이 발생할 때는 뇌의 ‘연수’ 부분에서 뻗어 나온 신경세포가 전각 세포를
억제
해 몸이 움직이지 못하지요.수면 마비는 주로 잠이 부족하거나 무서운 영화를 본 후 나타나요. 분당 차병원 소아청소년과 채규영 교수는 “수면 마비는 건강한 수면 습관을 유지하면 발생 빈도를 줄일 수 ... ...
두려움에 맞서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담당하는 뇌의 영역인 ‘상구’가 활성화되며 공포 반응을 담당하는 편도체를
억제
하는 것을 발견했지요. 그래서 쥐가 공포를 느끼지 않은 거예요. 무섭기만 했던 괴물의 실체를 과학으로 따져보니 어때? 그렇게 무섭지만은 않지? 새로운 공포의 대상이 나타나도 걱정하지 마. 공포를 잊는 비장의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키워드는 ‘암’과 ‘세포’로 요약할 수 있다. 작년에도 차세대 항암제인 면역관문
억제
제를 개발한 과학자들이 노벨위원회의 선택을 받았다. 흔히 ‘노벨상은 같은 분야에서 연달아 수상자가 나오지 않는다’고들 하는데, 이렇게 같은 분야에서 계속 수상자가 나오는 이유는 뭘까. 사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