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리콘"(으)로 총 62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갤럭시노트7 430만 대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적절한 용매만 있으면 모든 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 그러나 유가금속으로 만든 전극이 실리콘 기판 안에 들어 있기 때문에, 산과 금속을 만나게 하려면 잘게 부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습식제련을 하는 국내 기업으로는 고려아연, 성일하이텍 등이 있다. 한국의 도시광산이 일본으로 유출되는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때 전하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질량 변화도 동시에 측정해 정확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콘 표면의 나노구조를 개선해 측정 민감도를 높였다. 이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바이오센서를 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민감도와 신뢰성”이라며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면역분석에 즉시 사용할 ... ...
- [현장취재] 찾아라! 하인슈타인 GO!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나르는 자동운반장치예요. 각 공정으로 자동으로 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답니다. 실리콘 기판을 만들고, 가공, 테스트, 후 공정을 거쳐 반도체를 완성해요. 반도체는 거의 모든 전자제품에 들어가기 때문에 ‘산업의 쌀’이라고도 불리죠.”SK하이닉스는 반도체 시장을 이끄는 세계적인 ... ...
- [과학뉴스] 온몸이 말랑말랑~ 문어 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8호
- 만들어졌기 때문에 몸을 변형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어요.이에 비해 옥토봇은 온몸이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져 있고, ‘과산화수소’를 연료로 움직인답니다. 과산화수소가 분해되면 산소기체가 나오는데, 산소가 관절을 부풀리면서 다리에 압력을 가해 옥토봇이 움직이는 거예요. 배터리와 모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신비한 동물 속 여행, 판타스틱 애니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1977년에 개발했지요. 생물의 장기와 조직에 있는 물과 지방을 모두 제거하고, 대신 실리콘이나 에폭시 수지와 같은 화학 성분을 채워 넣는 기술이랍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생물 표본을 살아 있을 때 모습 그대로 썩지 않게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어요. 게다가 냄새가 나지 않고 독성도 없지요.이번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늘리면 밝은 빛을 낸답니다.미국 코넬대학교 로버트 셰퍼드 교수 연구팀은 잘 늘어나는 실리콘 층 사이에 빛을 내는 얇은 장치를 넣었어요. 이 장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어서,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변화가 생기면 전기가 흐르면서 빛이 나요. 이 인공피부는 원래 크기의 6배까지 늘어나고, 둘둘 ... ...
- [Career] 상식 넘어선 도전, 빛나는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가지고 있다. 문제는 전기를 만들거나 빛을 내는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와 반대로 실리콘 같은 무기물 기반의 태양전지나 발광소자는 효율은 높지만, 공정 과정에서 진공장비가 필요한데다 휘거나 늘어나지 않는다.과학자들은 유기물와 무기물을 혼합해서 만든 ‘유무기 하이브리드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더스틴 카연구원이 만든 나노기타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타다. 결정질 실리콘으로 만들었는데 전체 길이는 10μm(마이크로미터, 1μm=1000분의 1mm)이며 현의 길이는 약 6~12μm, 두께는 0.2μm밖에 되지 않아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다. 사람 머리카락 두께(약 200μm)보다도 훨씬 작고, 적혈구와 비슷한 크기다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모형을 만들었다. 이것을 바탕으로 주형을 만든 뒤 폴리다이메틸실록산(PDMS)이라는 실리콘 기반 탄성고분자 물질을 주형 안에 부어서 실제 뇌처럼 말랑말랑한 젤 형태의 뇌 모형을 얻었다. 연구팀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피질을 재현하기 위해 뇌 모형 표면에 탄성고분자를 얇게 발라 막을 만들었다.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년 10호
- HI-1’은 이시구로 교수가 자신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 그와 키, 체형이 비슷한데다 실리콘으로 살갗을 만들어서 나란히 서 있는 모습을 보면 얼핏 쌍둥이 같다.이 로봇은 원격조종으로 얼굴 근육과 입술, 눈동자를 움직인다. 이시구로 교수가 짓는 표정을 카메라로촬영해 원격으로 전기신호를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