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경"(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만화가 AI로 영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새로운 캐릭터를 만들고, 130개의 줄거리를 만들었다”고 했어요. 여기엔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기술이 활용됐습니다. GAN은 창과 방패처럼 한쪽은 계속 진짜 같은 가짜 데이터를 만들고, 다른 한쪽은 가짜인지 판단하며 서로 치열한 대결을 벌여요. 이 과정을 반복하면 점점 더 진짜 같은 데이터가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함께 진행되고 있답니다.●뉴런: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받아들이며 정보를 처리하는 신경세포. 플랑크톤 plankton 플랑크톤은 물에 둥둥 떠다니는 각종 동물, 식물, 세균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그리스어 ‘planktos(방랑자)’라는 단어에서 이름을 따왔죠. 우리말로는 ‘떠살이 ... ...
- [기획] 암호화폐 벌면 기후변화 빨라지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횟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예를 들어, MIT 연구팀은 레이어 10개 깊이의 딥러닝 신경망을 가진 자율주행 차량이 10대의 카메라를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1시간 동안 운전하면 2160만 번의 연산을 수행하리라 계산했다. 자율주행 기술은 완전 수동인 ‘레벨 0’부터 운전자를 대신하는 완전 ... ...
- [수학상위 1% 비밀무기] 서울대 수리과학부 새내기 어재혁의 합격 비결은 ? 필사와 수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골똘히 생각하면서 문제를 풀어야 해요. 사고의 과정을 보기 때문에 풀이 하나하나도 신경써야 하고요. 그 과정을 쓰지 않고 답이 나오면 틀린 문제로 간주해요. 그래서 시험 시간을 넉넉하게 주는 거 같아요. 앞서 말씀드렸듯 생각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푸는 수학 문제를 싫어해서 저는 이런 시험 ... ...
- [Data Math] 프린스턴대 수학 박사가 금융계에 만들고픈 변화는?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지속시간에 문제가 생기니까 ‘보다보면 얻어갈 게 있네’라는 생각이 들도록 만드는 데 신경썼어요. Q ─ 어떤 내용을 다루나요?학창시절 제가 수학에 대해 정말 궁금했던 것들을 소재로 쓰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허수가 필요한 이유는 뭘까’, ‘근의 공식을 대체할 방법은 없는 걸까’ 같은 ... ...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수상작]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침대에 내팽개치고는 멍하니 프로젝트 파일을 바라보았다. 이젠 이 자료에도 온전히 신경쓸 수가 없는 지경이었다. 벌써부터 모든 게 엉망진창이 되어 버린 것 같았다. 안스리움인지 안스러움인지 하는 식물을 필리핀에서 받아다가 곧장 강물에 던져 버리고 싶은 충동까지 일었다. 설진은 본인이 ... ...
- [단편소설] 안스리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위치를 알 수 있는 내세 좌표를 받기 위해 구청에 들렀다가 어쩔 수 없이 구청 직원과 신경전을 벌인다. 이후 회사의 중요한 프로젝트 미팅 장소로 향하는데…. 설진이 도착한 곳은 ‘미채 美菜’라는 간판의 채식 요리 전문 식당이었다. 일본의 다다미 식으로 꾸며진 내부로 들어서자 직원이 예약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않나 생각하겠지만, 엄마 께띠는 그저 끈등이 있는 나무를 바라만 보고 있었다. 별로 신경 안 쓰인다는 듯 나뭇가지에 앉아 쉬면서. 몇 분이 지나고, 용기가 생겼는지 끈등이 빙빙 돌아서 마침내 엄마가 있는 나무에 도착했다. 쿨한 엄마를 둔 끈등은 먹이 행동을 학습하기 위해 엄마에게만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2019년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진은 광유전학 기술로 공포 감정을 감소시키는 뇌 신경회로를 발견했습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공포 감정은 시각 자극을 받아들이는 ‘상구’ → ‘중앙 내측 시상핵’(공포 기억 억제에 관여) → ‘편도체’(공포 반응 작용)로 ... ...
- [인포그래픽] 인간과 인공지능의 지능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우리는 날기 위해 새가 나는 모습을 참고해 비행기를 만들었다. 하지만 비행기와 새의 모습은 다르다. 마찬가지다.인공지능(AI)을 만들기 위해 인간의 지능을 참고했다. 그러나 AI를 들여다보면 인간과 다른 점들이 속속 보인다. 인간과 AI의 자극 지능을 비교 분석했다. 어쩌면 인간만 갖고 있는 특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