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송
운반
이송
운수
전달
운하
탁송
d라이브러리
"
수송
"(으)로 총 577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순환, 중위도는 훼방꾼?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대체할만한 다른 에너지
수송
방법이 없다면 열대 지방과 한대 지방 사이의 에너지
수송
이 어려워지고 남북 방향의 기온 경도가 매우 크게 발달할 수 있다.먼저 문제 Q1번을 풀고 답을 생각하면서 보자. 남북 방향 등압면 기울기는 고위도로 갈수록 공기 기둥이 차가워져 위축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 ...
대한민국 블랙아웃 초비상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일부 고압 송전선이 끊어지기라도 하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다른 송전선으로 전력
수송
량이 몰리다 보니 그 송전선 내부의 전압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낮아진 전압은 송전능력을 더 낮추게 되는 악순환이 벌어진다.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블랙아웃 현상은 더 빨리 진행된다.문제는 ... ...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갖춘 선박을 통해 광통신으로 조종, 바다 속에서도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다. 절단,
수송
, 용접 등 다양한 작업에 사용한다.수중로봇과 잠수부가 수년간 작업해 해저도시를 건설한다. 도시의 뼈대인 철골을 수중에서 먼저 구축하고 구조물 사이로 메타크릴 수지 글래스를 덮는다. 주거 공간, 발전 ... ...
작지만 값진 성공의 경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만들어 에너지를 저장해놓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수소는 지역적 제한이 없고 에너지
수송
, 저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아주 크다. 앞으로 다가올 수소 경제를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다. 이러한 에너지와 관련 분야를 연구할 수 있게 도와준 교수님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 ...
수송
용 무인 헬기, 아프가니스탄에서 첫 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미국의 전쟁물자를
수송
하기 위해 개발된 무인 헬기 '카만 K-MAX'가 아프가니스탄에 실전 배치됐다. 원격제어가 가능해 임무 중 파일럿 손실 위험 없이 물자를
수송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적군의 빈번한 공격 목표였던
수송
차량을 대신해 전장에 투입될 계획이다. ...
산타
수송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4호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는데 갑자기 사슴대표 루돌프가 눈썰매를 끌지 않겠다고 선언했어. 전투기 소리 때문에 심장마비에 걸릴 수 있다고 말이야. 실제 덴마크의 산타클로스 올라비 니코노프의 사슴이 전투기 굉음으로 심장마비를 일으켰다는 사고가 있지 뭐야.이런 이유로 산타마을에서 ‘크리스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물론, 잎과 가지를 연결하는 체관(광합성 산물을
수송
하는 조직)과 물관(물과 이온을
수송
하는 조직)의 물이 얼면 부피가 팽창하면서 얼음 결정이 세포를 파괴한다.3단계의 낙엽 프로그램따라서 식물은 잎을 지닌 채 겨울을 날 것인지 떨어뜨리고 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전자의 전략을 택한 종류가 ...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줄어든다. 이로 인해 적도와 아열대 해양에서 넘치는 수증기와 에너지가 고위도로
수송
되지 못하고 그대로 저위도에 머물러 있게 된다.저위도에 과잉된 에너지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태풍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저위도에 증발량이 늘면 태풍 같은 위험기상이 더욱 ... ...
아라뱃길 이야기마당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잇는 뱃길인 경인 아라뱃길이 10월 개항을 앞두고 있다.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물류
수송
의 부담을 덜고 홍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은 이 뱃길은 2009년 공사를 시작해 현재 마무리 중이다. 총 길이 18km의 경인 아라뱃길 곳곳에는 ‘수향 8경’과 ‘파크웨이’ 같은 문화, 휴식 공간이 많다. 이 중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안정해 마찰력이 줄어들면서 하층제트의 풍속이 증가한다. 바람이 빨라지면 고위도로
수송
되는 수증기와 에너지도 늘어나기 때문에 호우의 빈도와 강수량도 증가한다. 한 주무관은 “하층제트가 동반된 집중 호우 연구에서 늦은 밤에서 이른 아침 사이에 발생한 호우가 낮에 발생한 호우보다 25%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