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탐정상] 손바닥 냄새로 성별 구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1시간 동안 손을 씻지 않은 남녀 각 30명의 손바닥을 거즈로 닦았어요. 이후 양쪽 손바닥 사이에 거즈를 10분 동안 끼워 놓고 손바닥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추출했습니다. 연구팀은 질량분석기로 60개의 분비물 샘플을 분석했어요. 질량분석기는 화학물질의 질량을 분석해 분자의 종류를 알아내는 ... ...
- [잔소리상] 발가락 사이 잘 씻어야 하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사이사이, 귀 뒤까지 깨끗하게 씻어야지!”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키스 크랜달 교수가 몸 구석구석을 꼼꼼하게 씻어야 하는 과학적 이유를 밝혀냈어요. 크랜달 교수가 이런 기발한 연구를 시작한 계기는 바로 할머니의 잔소리?! 씻을 때 몸 구석구석 잘 씻으라는 부모님의 잔소리, 들어 본 적 ... ...
- [통합과학교과서] 달 도둑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보입니다. 태양은 아주 작게, 달은 비교적 크게 보이는 거죠. 일식은 태양과 지구 사이로 달이 지나갈 때 생깁니다. 태양이 떠 있는 낮에 달이 태양 앞을 가로지르는 현상이죠. 이때 달은 시커멓게 보여요.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않고 태양 빛을 반사해서 빛나는데, 일식 때 우리는 태양 빛을 받는 ... ...
- 하나를 알면 둘이 보인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4호
- 둘러싸여 기분이 조금 나아진 어겨맨은 시끌벅적한 공원을 둘러보았어요. 밤 사이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평소처럼 밝고 신나는 모습으로 일상을 보내고 있었지요. 어겨맨은 눈사람처럼 대응 관계인 것이 또 있는지 유심히 살펴보았어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땀샘 / 슈퍼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썰물의 해수면 높이 차가 평소보다 커져요. 밀물과 썰물은 지구와 달, 혹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끌어당기는 힘 때문에 발생합니다. 슈퍼문 때는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이 힘이 강해져 밀물과 썰물 현상이 더 크게 일어나는 거죠 ... ...
- [탐험후기] “놀라운 풍경에 지질학자의 설명까지 더해진 귀한 경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것은 절벽과 바닥에 있는 동굴 같은 구멍들이었습니다. 원래는 아주 좁은 틈이었는데, 그 사이로 물이 새면서 점점 커졌다고 해요. 자연의 힘으로 이런 형태가 만들어지기까지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렸을지 상상이 되지 않습니다. 구멍들을 보면서 ‘나도 아주 작은 흥미를 점점 키워가면 결국 ... ...
- [꿀꺽! 수학 한 입] 딱 들어맞게! 테셀레이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3호
- 볼 수 있는 벌집이 나 보도블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테셀레이션을 만들려면 모양 사이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고 했지? 그러려면 모양의 꼭짓점이 만나는 각을 합쳤을 때 360°가 돼야 해.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을 이어 붙이면 각각 테셀레이션을 만들 수 있어. 한 각의 크기가60°인 정삼각형 ... ...
- Day2. 깎아지른 수직 협곡과 옥빛 하천이 눈앞에! (타이루거 협곡-칠성담 해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암석의 약한 부분들에 틈이 벌어지게 된다”며 “지하로 침투한 빗물이 암석의 틈 사이로 발달한 작은 통로를 따라 물줄기로 흐르다가 절벽을 만나 밖으로 나가면서 구멍이 커진 것”이라고 했지요. 이 구멍들은 하천의 수면과 가까운 곳에서 만들어지므로 절벽의 위로 갈수록 오래전에 만들어진 ... ...
- [과학뉴스] 기니개코원숭이, 나한테 간식 안주면 나도 안줌! 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수 있는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게 했어요. 짝을 이룬 기니개코원숭이들은 투명한 벽을 사이에 두고 상대가 어떤 선택을 하는지 볼 수 있었죠. 연구팀은 95일간 153쌍의 기니개코원숭이가 짝을 이뤄 과제를 수행하는 모습을 24만 8616회 촬영했어요. 영상 분석 결과, 짝이 간식을 받을 수 있도록 선택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깨져버린 탕후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반면 액체는 분자와 분자 사이가 헐겁게 연결되어 있죠. 마지막으로 고체는 분자와 분자 사이가 단단하게 연결돼 쉽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서로를 붙잡은 상태입니다. 탕후루를 만들 때는 먼저 고체인 설탕에 물을 섞은 뒤 끓여요. 물에 녹은 설탕 분자는 어느 정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