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비
미비
불충분
결함
부족
모자람
결핍
d라이브러리
"
불완전
"(으)로 총 428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태울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연소실이 커지면 가장 큰 문제가
불완전
연소다. 연료가
불완전
연소하면 연소실이 버티지 못하고 엔진이 폭발한다.연소실의 압력을 높이는 방법도 있다. 같은 양의 연료를 연소하더라도 연소실의 압력을 높이면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추진력이 커진다. 한꺼번에 큰 ... ...
나로호 카운트다운, 뒤는 없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발생해 216초에 화약이 폭발하지 않았다는 게 원인이었다. 이에 따라 페어링 분리기구가
불완전
하게 움직이면서 기계적으로 페어링이 끼는 현상이 발생했다. 두 번째 발사는 2010년 6월10일 오후 5시1분. 발사 후 137.19초, 고도 70㎞ 지점에서 페어링 분리가 확인이 안됐고 통신이 두절됐다. 한·러 ... ...
[합체] 비슈누의 머리와 키클롭스 눈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수정 후 3일 뒤나 4~8일 뒤에 나뉘면 괜찮지만, 2주쯤 뒤에 쌍둥이로 나뉘면 분열이
불완전
하게 이뤄지지. 다시 말해 결합쌍둥이는 분리가 일어나는 단계에 따라 생기는 여러 이형 중 하나야.”“그런 사람들이 건강하게 잘 사나요?”그러자 장난을 치던 쌍둥이가 결합 상태를 풀더니 양쪽에서 말했다 ... ...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남아있었다. 너무 섬세한 나머지 징그러워 기자는 손을 대기조차 주저스러웠다. 매미는
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으로 일생이 알, 애벌레, 성충 세 단계로 나뉜다. 애벌레가 탈피각을 벗으면 우리가 알고 있는 매미가 된다.“머리, 앞가슴등판이 전체적으로 큰 걸 보니 말매미네요.” 탈피각을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고차원 공간은 현재 직접 볼 수 없다. 가까운 미래에도 볼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이론도
불완전
하며, 그 중에는 말 그대로 ‘본다’는 말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도 있다.“다만 어려운 것은 4차원 공간을 보는 것이다. 3차원 공간에서 만들어진 우리의 뇌로 4차원 공간을 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 ...
마이클 펠프스 팔 동작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몸이 앞으로 빨리 나가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맞지만 유체역학적 관점에서
불완전
한 영법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을 이끈 미탈 교수는 “스컬링 동작을 과하게 하면 양력과 물을 잡아당기는 힘을 오히려 모두 감소시킨다”고 설명했다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19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주로 수사 초기에 피해자 등 주요한 목격증인의
불완전
한 기억을 되살려 단서를 찾거나, 진술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활용한다. 그런데 몽타주로 제각기 다른 사람들의 얼굴을 다 표현할 수 있을까? 몽타주를 통해 그릴 수 있는 범인의 얼굴은 몇 가지나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부족해서가 아니다. 세상이 ‘원래’ 그렇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이
불완전
한 이론이라고 생각하며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라는 유명한 말을 했다. 그러나 결정론자들은 자신의 가설이 여전히 옳다고 해명한다. 먼저 양자역학은 입자 차원의 이론일 뿐이므로 우리 ... ...
요약본 공부법, 시험 성적 높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음악을 들려주고 적게 하자 52개로 조금 높아졌다. 우리의 기억력은 절대 과신할 수 없는
불완전
한 능력이다.맬콤 글래드웰은 ‘그 개는 무엇을 보았나’에서 정보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제대로 된 정보를 찾지 못해 오류를 저지른 역사적 사건들을 분석했다. 그런데 저자에 따르면 이와 비슷한 일은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달리 진짜 뇌의 복잡한 회로망을 자세히 분석해 똑같이 만들겠다는 것이다. 사실 뇌는
불완전
한 존재다. 속도도 느리고 기억력도 뛰어나지 않다. 툭하면 기억을 왜곡하기도 한다. 컴퓨터는 빠르고 정확해 그럴 걱정이 없다. 그럼에도 뇌를 똑같이 흉내 내야 하는 건 사람의 지능이 뇌와 뗄 수 없는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