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산"(으)로 총 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담당하는 유전자들이 더 있다는 겁니다. 게다가 이 유전자들은 염색체 여기저기에 분산돼 있는 게 아니라 초파리의 염색체 하나에 옹기종기 모여 있었습니다. 이런 유전자들을 ‘혹스 유전자(hox genes)’라고 부릅니다. 혹스 유전자들의 중요한 특징은 ‘공통 직선성(colinearity)’입니다. 하나의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곳에 모세혈관이 밀집해 있다. 맥락막은 외부에서 들어온 빛이 공막(흰자위)으로 분산되지 않도록 암실 역할을 하고, 이를 통해 눈이 사물을 또렷하게 볼 수 있게 만든다. 다시 말하면 맥락막처럼 혈관이 많으면 빛이 통과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빛의 통과가 중요한 눈에는 혈관이 없는 부위가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연구에 따르면 근시를 유발하는 유전자는 염색체 상에 약 100개 이상의 영역에 분산돼 있다. 이성진 순천향대 의대 안과 교수는 “밝혀진 근시 유전자는 대부분 고도 근시 가족을 연구해 알아낸 특정 유전자”라며 “이런 유전자들을 전체적으로 조종하는 유전자가 따로 있을 것이라는 정도만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김도향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타이타늄(Ti)계 비결정성 금속에 형상기억합금을 분산시켜 넣어 자가치유합금을 개발하고 있다. 비결정성 금속은 마치 유리처럼 내부 원자가 제멋대로 흩어져 있는 금속으로, 결정성 금속보다 강도가 월등히 크다. 콘크리트에 하듯 치유제 캡슐을 넣는 방안도 ... ...
- [과학뉴스] 비트코인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뒤 3453.16달러(약 392만 원)까지 치솟았습니다.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블록체인(데이터 분산저장 기술)을 활용한 전자화폐 이더리움 역시 올해 1월 1일 8.09달러(약 9000원)에서 8월 15일 229.21달러(약 26만 원)로 약 29배 상승했습니다.이수정 메리츠종금증권 글로벌전략 애널리스트는 올해 6월 보고서를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체인) 기록 장부다. 이 기록 장부는 모든 참여자의 컴퓨터에 분산돼 저장된다.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기반 기술이다.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여러 사용자에게 공유돼 있기 때문에 해킹을 통해 정보를 조작하기가 매우 힘들다. 이런 이유로 금융, 각종 계약, 선거 등 가치가 높은 데이터를 ...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중 5가지 정도를 조합해서 만들어요. 유기화합물이 자외선B를 흡수해 열에너지로 분산시키는 원리입니다. 각각의 유기화합물은 조금씩 다른 영역대의 파장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섞어 쓰면 더 넓은 범위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자외선차단제에는 이런 무기 자외선차단제와 유기 ... ...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약하다. 하지만 강풍이 불거나 지진이 일어날 때 돌과 돌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에너지를 분산시켜 이런 약점을 보완한다. 즉, 석조 건물은 수직하중에 대해서는 재료강도로, 횡력에 대해서는 변형과 마찰력으로 저항할 수 있다.최근의 콘크리트 건물은 대부분 철근콘크리트로 지었다. 안에 철근을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인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오일펜스를 친 뒤 방제선들이 소화포를 살포해 온도를 낮추고 분산을 촉진해야 합니다.” HNS가 바다에 유출되면 사실상 수거는 불가능하다. 대부분 수용성이라 바닷물에 녹거나 대기로 증발하기 때문. 훈련에 앞서 만난 김성범 여수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환경팀 ... ...
- [Future] 스마트폰 의료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래)가 개발했다. 자폐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사진을 볼 때 일반 사람과는 달리 시선이 분산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조 씨는 이를 이용해 자폐를 진단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2~10세의 어린이 32명(16명이 자폐증)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자폐증을 93.96%의 정확도로 가려냈다(doi:10.1109/WH.2016.776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