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르기"(으)로 총 4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예가 ‘닭의장풀’의 학명인 Commelina commuis(코멜리나 코뮤이스)지요. ‘달개비’라고 부르기도 하는 닭의장풀은 예쁜 파란색 꽃을 피워요. 꽃잎 두 개는 큼지막한 반면, 나머지 한 개는 좀 작지요.린네는 이 모습을 보고 자신과 같은 시기에 활동한 식물학자들을 떠올렸어요. 당시 코멜리나(Commelina ... ...
- 달나라 옥토끼배 송편대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이 오하기를 봄철에 먹을 때는 봄에 피는 꽃인 모란꽃 이름을 따서 ‘보타모치’라고 부르기도 해요. 찹쌀은 보통 쌀(멥쌀)보다 쉽게 연해져 소화가 잘 되는 곡물이에요. 일본에서는 이처럼 떡 형태로 즐겨 먹는답니다.달을 닮은 송편과 국화로 만드는 화전우리나라에서 추석에 먹는 떡 중에는 ... ...
- 장님 물고기는 먹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테트라’랍니다. 학자들은 저를 ‘아스티아낙스 멕시카누스(Astyanax mexicanus)’라고 부르기도 하죠.제 생김새를 보면 알겠지만, 투명할 정도로 연한 분홍색 몸에 눈이 없는 게 특징이랍니다. 몸길이는 최대 12cm 정도로 꽤 작은 편이고요.저는 주로 멕시코 북동쪽의 29개의 동굴지역에 살고 있어요. 20~2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석유와 바이오디젤 만든다지금까지 알아본 것만으로도 플랑크톤을 바다의 지배자라고 부르기에 충분한 것 같아. 그런데 놀라지 마. 플랑크톤이 우리 삶에 꼭 필요한 자원까지 되고 있단다.플랑크톤이 인류에게 남긴 선물오늘날 석유가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도 어려워요. 전기를 만들거나, 자동차를 ...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약 2~4주 후에 태어난 유충은 3mm 정도 크기예요. 삼엽충과 닮아서 ‘삼엽충 유충’이라고 부르기도 하죠.4 어른이 될 때까지 10년투구게 유충은 약 10년 동안 허물을 벗으며 자라요. 아메리카 투구게의 경우 약 60cm까지 자랄 수 있어요. 어른이 되면 먼 바다로 이동해 살다가 번식기가 되면 다시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페이스북의 독특한 기업 문화를 ‘해커 웨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사회적인 문제를 SW로 빠르게 해결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해커라는의미에서다.하룻밤 사이에 나온 페이스북의 ‘좋아요’해카톤은 대회라는 특성에 맞게 비교적 짧은 시간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맞게 끊어 읽는 것도 쉽지 않았다. 김 연구원은 “랩은 가사에 라임(rhyme)이 있어야 부르기 쉽고 리듬이 잘 살아난다”며 ‘우린 항상 당이 필요해. 포도당, 젖당, 과당, 설탕’이라는 가사를 ‘우린 매일 골이 땡겨, 그래서 난 당이 땡겨. 포도당, 젖당, 과당, 설탕’으로 수정해주기도 했다. 실제 ... ...
- 바나나 살리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자라지요. 풀마다 커다란 빨간색 꽃을 하나씩 가지기 때문에 ‘바나나의 심장’이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이 거대하고 붉은 꽃이 지면 그 자리에 바나나 열매가 열려요. 보통 꽃이 핀 후 열매가 열리기까지 6개월이 걸리지요.하지만 우리가 먹는 바나나 열매를 땅에 심어도 바나나는 자라지 ... ...
- 칼레이도 사이클로 만드는 정육면체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모양으로 접히는 칼레이도 사이클을 발견했다. 자신의 이름을 따서 ‘샤츠 큐브’라고 부르기도 하고, 뒤집을 때 정육면체 모양이 된다는 뜻으로 ‘인버터블 큐브(Invertible Cube)’라고도 한다.대부분의 칼레이도 사이클의 면이 이등변삼각형으로 된 것과는 달리, 인버터블 큐브의 한 면은 ...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통해 미래는 얼마든지 다른 모습이 될 수 있다. 이 관점을 ‘자라나는 블록 우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는 실재하지만, 미래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는 관점이 녹아있다. 시간여행을 통해 과거로 돌아가 어떤 사건을 바꾸게 되면 ‘자라나는 블록 우주’에 가지가 생겨 다른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