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양"(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만드는 유전자를 집어넣으면 홍합 단백질을 만드는 미생물이 된답니다. 이미생물을 배양하면 홍합이 없어도 홍합의 단백질을 얻을 수 있죠. Q 미생물에서 홍합단백질을 얻는다고요?네, 정말 신기하죠? 게다가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일정한 품질의 홍합 단백질을 얻을 수 있어 더욱 좋아요. 홍합에서 ... ...
- [출동!기자단] 유산균이 태어나는 곳, 쎌바이오텍 연구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위에 하얗게 자라고 있는 유산균과 마치 유산균 아파트처럼 생긴 배양기도 보았지요. 배양기는 세균이 자라기 좋은 환경인 온도 37℃, 이산화탄소 농도 5.5%로 맞춰져 있었답니다. 또, 친구들은 현미경을 통해 유산균이 어떤 모양인지도 직접 확인해 보았어요. 이날 관찰한 유산균은 ... ...
- 산호와 맹그로브의 천국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꿈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갓 잡은 랍스터를 가득 내왔다.박 책임연구원의 흔적은 기지 곳곳에 있었다. 특히 배양동에서 자라고 있는 관상어, 자이언트 클램(대왕조개) 등 다양한 해양 생물들은 모두 박 책임연구원의 손을 거친 것들이다. 19년간 박 책임연구원을 포함해 이곳을 거쳐 간 연구원들은 열대해양 생물의 특성을 ... ...
- 독감 백신은 왜 매년 맞아야 할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2019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은 백신 19종 중 3가 백신 1종, 4가 백신 1종이 세포 배양 백신이다. 동물의 세포를 이용하는 방식이어서 2~3개월이면 백신을 생산할 수 있고, 항생제도 투여할 필요가 없다. 유정란 백신에 비해 생산 기간이 짧아 신종플루 같은 변종 독감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 암컷과 수컷, 신경망 지도 각각 완성과학동아 l2019년 08호
- 7월 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예쁜꼬마선충은 몸길이 1mm로 투명하며, 배양이 쉽고 발생 단계가 비교적 단순해 생명과학 연구에 널리 쓰인다. 암컷(스스로 생식하거나 수컷과도 교미하는 자웅동체)은 302개, 수컷은 385개의 뉴런을 갖고 있어 인간 뇌의 수억 분의 1 수준으로 단순하다 ... ...
- 日, 사지마비 환자 일으켜 세우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플라스미드가 들어가면 체세포가 줄기세포로 역분화된다. 여기에 특정 조건을 주고 체외배양하면 이론적으로 간이나 폐 등 원하는 신체 조직 200여 종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초기 유도만능줄기세포 기술은 역분화한 만능세포가 어느 순간 암으로 돌변할지 장담할 수 없다는 위험 부담이 있었다.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영화에서처럼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이를 다시 성인으로 온전히 성장시키는 체외배양시스템은 아직은 없다는 말이다. 기억 따라 감정도 전송, 가능할까기억과 감정이 동시에 움직인다는 영화의 이런 설정은 뇌과학계에서는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 있다. 일례로 어제 저녁 연인과 레스토랑을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손상 없이 분자 운동이 정지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냉동된 난자를 녹일 때는 실온의 배양액에 담가 온도를 올려 녹이는 급속 해동법을 이용한다. 유리화동결법이 도입된 이후 냉동 난자의 생존율은 40%에서 95% 이상으로 크게 올랐다.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현재까지 발표된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시스템보다 2배 이상 효율적으로 신경세포 분화를 유도했다. 조 교수는 “이 시스템으로 배양한 신경세포를 허혈성 뇌졸중에 걸린 쥐에 이식해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며 “앞으로 뇌 조직뿐만 아니라 심장이나 간 등 다른 조직을 모사한 시스템도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자연스러운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1 유병언은 언제 사망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수 있기 때문이다. 법곤충학의 경우 곤충의 종과 성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곤충을 배양하고 유전자 검사를 진행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곤충이 접근하기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서 사망하거나 부패가 너무 많이 진행돼 애벌레가 없어 법곤충학을 적용하기 어려운 시체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